SharedIT | 묻고 답하기(AMP)

서브넷 마스크 질문 드립니다

저는 음향엔지니어 입니다. 
스위치와 음향장비들로 네트워크를 구성할때 보통 192.168.0.1 // 255.255.255.0 이렇게 설정 합니다만.
음향장비 에서 Ip adress 는 네번째 값만 달리 해서 설정하면 되는데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  이렇게
모든 음향장비를 동일하게 해햐 하는 것인가요? 같은 네트워크라면 말입니다.
대부분 여러개의 장비들을 한 스위치에 연결하게 되는데 255.255.255.0 이 아닌 255.255.255.X  이렇게 설정하면 안되는 것인가요?
서브넷 마스크는 네트워크 상에서 가용 호스트의 수를 결정하는 것이라 이해하고 있는데
그럼 스위치 기준 혹은 라우터 기준으로 설정 잡으면 호스트인 음향장비에서의 서브넷 마스크가 의미하는 것이 어떤것인지 궁금합니다.
지금으로서는 192.168.0 이 네트워크에 포함되어져 있다 라는 뜻으로 이해하는데 적절한 이해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저의 질문내용에 오류가 있을것 같습니다만. 일단 지금 이해하고있는 것을 토대로 질문 드립니다.

최근 프로 음향장비들도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이 더욱 확대 됨에 따라 마음먹고 독학하고 있는 중입니다. 
감사합니다.

Tags : 태그가 없습니다.

5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Simon.Park
  0 추천 | 2년 이상 전

많은 분들이 답변을 많이 달아 주셨네요~~

처음 네트워크에 접근할 때 조금 헷갈리는게 서브넷마스크죠... 

왜 필요한지, 이게 먼지 ㅎㅎ

우선 서브넷 마스크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 이해를 하시면 업무 하시는데

많은 도움 될 듯 합니다~~~

https://blog.naver.com/skddms/221648907498


이 글 말고도 서브넷 마스크에 대한 내용은 많이 나와 있을꺼에요~~~

Genghis Khan
  0 추천 | 2년 이상 전

스위치를 어떻게 구성하느냐

어떤 ip대역으로 사설 ip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192.xxx.xxx.xxx를 사용하고 기본적으로

255.255.255.xxx을 사용합니다


wansoo
  0 추천 | 2년 이상 전

네트워크에서 서브넷 마스크는 중요합니다.

서브넷 마스크 값이 어떻게 되냐에 따라 상대편과 통신이 안될수도 있고, 격리되어야 할 대상에 통신이 허용됨으로 인해 보안에 치명적인 문제가 생길수도 있고요.

케이블을 정상적으로 연결 시켰는데도 서브넷 마스크 값에 의해서 통신이 안될 수도 있고, 통신이 되더라도 예상과 다른 방식으로 통신이되어 통신이 불안정하거나 빠른 통신이 가능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느리게 연결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간단함 개념이지만, 이 개념을 알고 모르고에 따라 얼마나 많은 응용을 할 수 있는지 없는지에 차이가 발생할 수도 있고, 어떤 장애를 해결할 수 있냐 없냐에 차이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간단한 개념을 몰라서 문제가 해결되고 난 후에도 장애가 왜 발생했는지, 장애가 왜 해결되었는지 몰라서 귀신 곡할 노릇이라며 도통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혼란에 빠져 있을 수도 있겠고요.

IT를 하면서도 종교의식이나 미신적인 주술에 의지하지 않으려면 근본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고 접근하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

Seok Soo Choi | 2년 이상 전

네 서브넷 마스크에 대한 이해가 조금씩 쌓이는 과정이라 생각이 듭니다.
저도 기본을 중요시 하기 때문에 질문을 올렸는데
자세하고 친절하게 답글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danis78
  0 추천 | 2년 이상 전 | 제이컴즈 | 010-2871-8756

네트워크 전문 분야로 넘어갈 거 아니시면 기본 서브넷 마스크로 셋팅하세요 

255.255.255.0 으로 말이죠 해당 서브넷 마스크 설정은 ip 를 254 개 쓰겠다 라고 선언하는 것 입니다.

255.255.255.x 로 설정하게 되면 오히려 쓸 수 있는 ip 숫자를 줄이게 되는 거죠 

그러니 ip 주소는 192.168.0.x 로 각각 설정하시고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 으로 

셋팅하시면 됩니다. 

Seok Soo Choi | 2년 이상 전

답변 감사합니다. 

말씀하신대로 서브넷 마스크레 달라짐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IP 의 수도 달라진다는 것 이해 합니다.
다만 저의 궁금증의 핵심은 각 장비 마다의 서브넷 마스크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가 궁금합니다.
다시 말해서 네트워크 에서 이미 서브넷 마스크가 결정되어있고 IP도 DHCP 로 할당 받았고 이를 통해 여러 음향장비들이 하나의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는 상황에서,, 장비에서의 서브넷 마스크의 설정사항이 어떤 의미가 있는가 하는 것 입니다. 생각 같아서는 어짜피 장비는 항상 호스트 이므로 서브넷 마스크 설정 사항이 없어도 그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danis78 | 2년 이상 전

각 장비마다 동일한 ip 대역을 쓰고 있다면 서브넷 마스크도 동일하게 구성하셔야 합니다.

서비스넷 마스크가 가진 의미는 ip 대역을 어떻게 설정하느냐 문제이지

각 장비마다 같은 ip 대역을 쓰는데 다른 서브넷 마스크를 쓸 이유가 없습니다. 

궁금하신 걸 구체적으로 ip 대역과 서브넷 마스크를 적어서 문의해주시면 

더 확실하게 답변드릴게요 

danis78 | 2년 이상 전

아래 예제로 참고하세요 X 라고 표시되어 있는 건 서브넷 마스크를 잘못 설정한거에요 

10.10.10.x 장비 ip 는 서브넷 마스크로 254 개를 쓰기로 했는데 다른 장비에서

128 로 설정하게 되면 1번 ip 부터 127 번 ip 까지만 통신이 가능합니다. 

그러니 잘못 설정한거죠


192.168.0.3 장비와 4번 장비처럼 동일한 서비스넷 마스크로 설정해야 합니다.


10.10.10.1 장비 255.255.255.0 (O)

10.10.10.2 장비 255.255.255.128 (X)


192.168.0.3 장비 255.255.255.128 (O)

192.168.0.4 장비 255.255.255.128 (O)

Seok Soo Choi | 2년 이상 전

결국 서브넷 마스크에 의해 구획된 ip 들이 서로 소통하지 못하는 결과를 야기하는 군요.
여러 다른 이유들과 목적을이  있겠지만 일단 위의 설명말씀 대로만 이해해도 저의 업무 현장에서는 
괜찮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wansoo | 2년 이상 전

10.10.10.1에 255.255.255.0 과 10.10.10.2에 255.255.255.128을 할당하는게 잘못된게 아니랍니다.

권장되는 내용이긴하지만 필요와 목적에 따라 그렇게 사용할 수도 있답니다.

그리고, 표준 권장 사항으로 본다면 10.10.10.1은 A Class IP 대역이기 때문에 255.0.0.0의 서브넷을 사용하는게 권장 사항이되겠고요.

IP 값은 첫자리 숫자가 0~127은 A Class (255.0.0.0), 128~191은 B 클래스 ( 255.255.0.0 ), 192~223까지는 C Class( 255.255.255.0 )을 사용하는게 권장되지만...

용도와 목적에 따라 서브넷팅, 슈퍼넷팅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때문에 A Class IP 대역을 사용하면서도 255.255.0.0 등의 서브넷팅으로 구성하기도 하고, 192.168.0.0과 같은 C Class IP를 사용하면서도 255.255.0.0과 같은 슈퍼넷팅을 구성하기도 한답니다.

wansoo | 2년 이상 전

그렇다면 같은 네트워크 안에 서로 다른 서브넷을 사용하고 있을때 어떻게 되냐하는 의문점이 생길수도 있겠는데요.

오래전에 이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고 여러가지를 Test해 보았는데...

시스템에 따라 조금씩 상이하게 작동되긴하지만...

각자 호스트에서 결정해서 통신을 시도한다는게 맞는 답인것 같더군요.

예를 들어 A 컴퓨터와 B 컴퓨터가 통신을 하는데, A 컴퓨터의 서브넷 마스크와 B 컴퓨터의 서브넷 마스크가 서로 다르다면 어떻게 될까 하는 의문점이 있을 수 있겠는데요.

A는 10.10.0.1에 255.255.0.0이고 B는 10.10.10.30 에 255.255.255.0 이라면 어떻게 통신이 될까 하는 의문점이 있을 수 있겠는데...

A 컴퓨터는 B 컴퓨터로 직접적으로 트래픽을 전송하게 되기 때문에 B 컴퓨터는 정상적으로 트래픽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그런데, B 컴퓨터는 A 컴퓨터와 다른 네트워크에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A 컴퓨터로 직접적으로 트래픽을 보내려하지 않고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B 컴퓨터에게 트래픽을 보내려고 시도하게 됩니다.

게이트 웨이가 A 컴퓨터 쪽으로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게 라우팅 테이블이 등록되어 있을 경우라면 B 컴퓨터는 게이트웨이의 도움을 받아서 A 컴퓨터로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A 컴퓨터와 B 컴퓨터는 정상적으로 통신이 가능한 것처럼 보이게 된답니다.

그런데, 게이트웨이가 A 컴퓨터 쪽으로 트래픽이 갈수 있게 라우팅 테이블이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라면 A에서 B로는 트래픽이 전송되게 되지만 B에서 A로는 트래픽이 전송될 수 없어서 정상적인 통신을 완료할 수 없게 되게 되겠고요.


동일 물리적인 네트워크 안에 특정 컴퓨터에게 좀 더 많은 컴퓨터들과 통신을 할 수 있게 하고 싶고, 대부분 컴퓨터들은 서로 분리 시켜서 운영하고 싶을 경우에는 특정 컴퓨터에 서브넷 마스크 값을 조정해서 물리적인 구성 변경 없이도 간단하게 원하는 목적의 네트워크 구성을 할 수도 있겠고요~

Seok Soo Choi | 2년 이상 전

제가 해보고 싶었지만 한번도 해보지 못한 사례중심의 말씀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이렇게 값진 말씀을 이렇게 쉽게 알게 되어 믿어지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wansoo
  0 추천 | 2년 이상 전

용도와 목적에 따라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확한 의미라고 할 수는 없을 것 같지만...

실 적용 관점에서 생각해 보면... Subnet mask는 자신과 통신하려는 상대편의 관계라고 보면 될것 같습니다.

어느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는지 등에 관계없이... 스위치들에 의해 자신과 통신하려는 상대편이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황이라면...

자신의 IP주소와 자신에게 설정된 서브넷 마스크와 접속하려는 상대편 IP 주소를 기반으로 해서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지,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지를 계산해서 같은 네트워크에 있다면 직접 연결을 시도하게 될 것이고, 다른 네트워크에 있다고 계산된다면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연결을 시도하게 된다고 이해하면 됩니다.

wansoo | 2년 이상 전

서브넷 마스크로 호스트 수를 어떻게 계산하냐면...

2진수로 끝에서 부터 0의 값이 몇개있냐로 계산하면 되겠는데요.

예를 들어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254라고 했을때...

255는 2진수로 1111 1111 이되겠고,

254는 2진수로 1111 1110이 되겠고요..

255.255.255.254는 2진수로 표현해보면...

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0 이 되겠는데요.

255.255.255.254는 끝에서 부터 0의 갯수가 1개가 되겠고요.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254로 설정된 네트워크에서 

IP 주소의 앞에서 부터 31 비트가 네트워크에 대한 주소라고 생각하면 되겠고,

마지막에 1비트가 해당 네트워크에서 호스트에 할당된 IP 주소라고 생각하면 되겠고요.

1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값은 0과 1밖에 없기 때문에... 이 네트워크에 할당될 수 있는 호스트(IP) 수량은  2개 밖에 안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론상으로는 2개인데...

실제적으로 네트워크 IP와 브로드캐스트를 위한 IP, 그리고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게이트웨이에 할당될 IP 해서 3개 IP가 기본적으로 할당되어야 하기 때문에 1비트 서브넷을 할당할 수 없겠고요.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252라고 했을 경우를 보면...

255는 모두 2진수 1이기때문에 마지막 252만 보죠.

252는 2진수로 1111 1100이며, 끝에 2비트가 0인 값이 되겠는데요.

할당된 IP 주소에서 앞부터 30비트가 네트워크에 해당하고, 끝에 2비트가 호스트에 해당한다고 보면 되겠고요.

2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수는

00, 01, 10, 11 해서 총 4가지의 값을 표현할 수 있겠는데요.

서브넷이 255.255.255.252인 네트워크는 이론상으로 총 4개의 IP 주소를 가질 수 있는 네트워크가 되겠고요.

네트워크에 해당하는 IP 1개와 브로드캐스트에 해당하는 IP 1개, 게이트웨이 기기에 할당되는 IP 한개를 빼고 나면 실제적으로 할당 가능한 IP는 1개라고 보면되겠고요.

이와 같이 해당 서브넷에 할당될 수 있는 IP 갯수는 서브넷 마스크의 값의 끝자리 2진수 0의 값의 갯수로 계산될 수 있답니다.

끝의 0의 자리 갯수가 1개일때 2, 2개일때 4, 3개일때 8, ...

2, 2x2, 2x2x2, 2x2x2x2, 2x2x2x2x2, .... 와 같이 끝의 0의 갯수가 많아 질수록 0의 갯수만큼의 2를 다시 곱한 수 만큼의 IP 주소를 가질수 있는 네트워크라고 계산하시면 됩니다.

wansoo | 2년 이상 전

두 IP가 같은 네트워크인지 아닌지 계산은 bit AND 연산을 해 보면 됩니다.

비트 AND 연산 결과가 동일한 값이면... 동일 네트워크이고, 다른 값이면 다른 네트워크가 되겠고요.

비트 AND 연산을 예를 들어 길게 적다가...

다른 일이 있어서 글을 줄여서 간단하게만 남기네요~ ^^

비트 AND 연산 예를 구체적으로 알고 싶다면 다시 질문을 남기시면 설명 드릴께요~

지금은 바빠서...

Seok Soo Choi | 2년 이상 전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아직 지식이 거의 없어서 질문의 수준이 낮음을 양해 부탁 드립니다.
사실 호스트간 서로의 위치와 관계는 IP 나 MAC 으로 이미 가능한 것 아닌가요?
그렇다면 호스트에서의 서브넷 마스크 설정 사항이 어떤 의미 혹은 역할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wansoo | 2년 이상 전

MAC은 L2 계층에서 상대편과 통신하는 주소가 되겠고요.

IP는 L3 계층에서 상대편과 통신하는 주소가 되겠고요.

양쪽 호스트가 서로 통신할때 한쪽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OSI 7계층의 꼭대기층( L7 )에서 하위 계층으로 내려가서 데이터를 포장해서 최하위층인 L1 계층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데이터가 전송되게 되겠고요. 

상대편에서도 L1 계층으로 받은 전기 신호를 상위 계층으로 올려 보내면서 포장된 데이터를 풀어 내면서 상대편이 보낸 원본 데이터를 꺼집어 내게 되겠고요.

표준적이지 않은 특수 소프트웨어를 직접 개발해서 사용하지 않는다면 MAC 주소로 직접 통신하게 하기는 어려울거 같고요.

MAC 기반으로 직접 통신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하더라도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는 로컬 네트워크에서만 가능하겠고, 게이트웨이를 넘어 장거리 통신을 하게 만드려면 통신 구간에 있는 모든 장비들을 자신이 설계한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게 만들어야만 가능하겠고요.

인터넷과 같은 표준적인 기반의 통신에서는 TCP/IP와 같은 표준 프로토콜에 기반한 통신 소프트웨어를 만들어서 통신하게 해야만 쉽게 개발할 수있고, 확장도 쉽게 가능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