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으로 제공자측에선 자사 솔루션만 팔면 되는거니까 직접 영업을 하든 뭘 하든 그 서비스만 팔리면 되는거고, 중간단계의 컨설팅+a를 해야 할 회사들이 부가가치를 만들어서 팔아내야 하는게 결론 아닐까요.
어차피 MS의 기준에선 Office를 판다고 할때 알아서 사는거고, 누가 팔든 우리는 팔기만 하면 되는건데 중간에 딜러가 Office를 판매하면서 그걸 더 잘 쓸 수 있는 도구나, 방법, 구성방법을 제안해주고 그에 따른 추가적인 부가가치를 챙겨간다고 하면 서로가 win-win할 수 있는 상황이 생겨나는 상황이기도 하구요.
어차피 지금은 기본 서비스의 중개판매만으론 충분한 이익을 얻기 어려워졌고 그 해결방안이 커스터마이징 되는 고객맞춤형 서비스인데 그런 손 많이 가고 이익율이 가만히 있어도 채워지는 메인 서비스사 입장에선 굳이 건드릴 필요도, 건드려서 같이 판매망 구축해야 할 파트너의 이윤을 위해서도 두는게 나을 수 있겠죠.
15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멀티 클라우드 관리 때문에 그런거 같아 보이는데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경쟁사와 차별화하고 고객을 자사에 묶어두기 위함이겠죠 ㅎ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CMP(Clould Management Platform)
고객입장에서 필요성이 크기 때문일것으로 생각합니다.
제일 큰 이유는 멀티클라우드도 사용하고
자사의 요구사항반영이나 관리사항들이 제대로 운영되도록 하기 위함이죠.
클라우드벤더가 만들기엔 한계가 있겠죠.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똑같은 제품을 가지고 여러 업체에서 판매를 하고 할 경우에
먼가는 다른 업체와 다른 매력(?) 포인트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그걸 가지고 RFP 작업도 할 수 있는 부분이 있고,
고객에게 어필해서 해당 회사에서 구매를 하게끔 유도할 수 있는 거죠.
이 부분은 비단 Solution 뿐 아니라, H/W Vendor 도 마찬가지로
각 판매사별로 내세울 수 있는, 아니면 RFP 독소 or 유리한 항목을 만들기 위한
용도로 많이들 사용합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MSP들 끼리 경쟁이 치열한데 원가가 잡히는 요금 할인으로는 경쟁이 한계가 있으니 관리툴같은걸로 경쟁사와 차별화하고 고객한테 어필하려는거 아닐까요??
답변 감사합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기본적으로 제공자측에선 자사 솔루션만 팔면 되는거니까 직접 영업을 하든 뭘 하든 그 서비스만 팔리면 되는거고, 중간단계의 컨설팅+a를 해야 할 회사들이 부가가치를 만들어서 팔아내야 하는게 결론 아닐까요.
어차피 MS의 기준에선 Office를 판다고 할때 알아서 사는거고, 누가 팔든 우리는 팔기만 하면 되는건데 중간에 딜러가 Office를 판매하면서 그걸 더 잘 쓸 수 있는 도구나, 방법, 구성방법을 제안해주고 그에 따른 추가적인 부가가치를 챙겨간다고 하면 서로가 win-win할 수 있는 상황이 생겨나는 상황이기도 하구요.
어차피 지금은 기본 서비스의 중개판매만으론 충분한 이익을 얻기 어려워졌고 그 해결방안이 커스터마이징 되는 고객맞춤형 서비스인데 그런 손 많이 가고 이익율이 가만히 있어도 채워지는 메인 서비스사 입장에선 굳이 건드릴 필요도, 건드려서 같이 판매망 구축해야 할 파트너의 이윤을 위해서도 두는게 나을 수 있겠죠.
결국 고객을 위한 커스터마이제이션이 CMP이군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CSP가 직접 CMP를 개발하기에는 고객이 워낙 다양하고 원하는것도 다르기 때문이 아닐까 싶네요.
각 국가별로도 문화나 정서가 다르기 때문에요.
Azure 조금 쓰고 있는데..
단적인 예로.. 비용 처리하는게 여간 까다롭지 않습니다.
우리가 원하는대로 양식이 안나와요. ㅜㅜ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답글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틈새 시장이지 않을까요?
MSP의 역활에서 CSP에서 제공하지 않거나 못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CSP와 차이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CMP 즉, 비용최적화, 모니터링, 관리 등
다양한 고객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가 추가되지 않을까요?
CSP 자체적으로 서비스도 엄청많은데 CMP는 못따라가나 보네요
선택과 집중이지 않을까요 ㅎㅎㅎ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앞서간 개념에 대한 고민을 하고 계시나 보네요.
솔직히 용어들도 익숙하지 않습니다. ㅎㅎ
CSP : Cloud Service Provider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 )
MSP : Managed Service Provider ( 관리받는 서비스 제공자 )
CSP : Cloud Management Platform (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 )
CSP 업체들은 자사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가 되겠고, 자사의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품질을 관리하고 영업하게 될 것 같고... 자사 서비스에 대해서 관리하기에도 벅차지 않을까 싶네요. 타사 클라우드 관리까지 하기에는 무리가 있지 않을까 싶어 보이고요.
그러다 보니,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들을 총괄적으로 관리해 줄 수 있게, MSP 업체들이 CSP을 만들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닐까 싶어 보이네요.
개념까지 잡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