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현재 파일 서버로 Windows2012를 사용하고 있는데 10월 서포트 말료로 2019버전으로 업그레
이드하려고 합니다. 파일 서버는 도메인에 연결돼 있고 파일 용량은 3.8TB 정도 됩니다. 유튜브에 검색하니
쉽게 업그레이드가 되는 것처럼 설명이 돼 있는데 만약을 위해 새로운 여분 서버에 미리 2019를 만들려고
도 생각 중입니다.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는 오직 파일 공유 뿐입니다.
1.2012에서 2019로 서버 업그레이드 시 원활하게 진행이 될까요? 혹시 경험 있으신 분 있다면 부탁드립니다.
2.새로운 서버(2019)를 만들고 각각의 공유 폴더에 도메인 권한을 주는건 수동으로 일일이 할 생각인데 (기존 파일서버의 도메인 권한을 그대로 가지고 갈 수 있다면 좋겠지만) 옮길 파일 사이즈가 3.8TB정도라 어떻게 옮기는게 가장 효과적일까요? 기존 서버와 새로운 서버가 한동안 같이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룻밤 사이에 파일 복사가 끝내지 않아도 되긴 합니다. 문제는 사용자에게 공지하기전에 동기화가 완벽하게 돼야 되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아이디어가 없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18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문의사항을 해결하는데, 참고해서 확인해보세요.
1. Windows Server 2012에서 2019로 업그레이드
전체 업그레이드 단계:
■업그레이드 전 준비:
백업: 모든 파일, 구성 및 시스템 상태를 포함하여 현재 서버의 전체 백업을 수행합니다.
호환성 확인: 모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Windows Server 2019와 호환되는지 확인하세요.
디스크 공간: 업그레이드 프로세스를 위한 여유 디스크 공간이 충분한지 확인하세요.
■업그레이드 프로세스:
Windows Server 2019 설치 미디어를 삽입하거나 ISO를 마운트하세요.
설치 미디어에서 setup.exe를 실행합니다.
업그레이드 옵션을 선택하세요(파일, 설정, 애플리케이션 유지).
화면의 지시에 따라 업그레이드를 완료하세요.
■업그레이드 후 작업:
필요할 수 있는 업데이트나 패치를 다시 적용하세요.
파일 공유를 포함한 모든 서비스가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확인하십시오.
업그레이드 중에 재설정되었을 수 있는 설정을 확인하고 재구성하십시오.
2. 새 Windows Server 2019 설정 및 파일 마이그레이션
새 서버 설정 및 마이그레이션 단계:
■새 서버 준비:
새 하드웨어에 Windows Server 2019를 설치합니다.
새 서버를 기존 서버와 동일한 도메인에 가입시킵니다.
서버가 완전히 업데이트되고 구성되었는지 확인하세요.
■파일 및 권한 마이그레이션:
파일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RoboCopy
- 파일을 복사하고 권한을 보존합니다.
robocopy \\OldServer\Share \\NewServer\Share /MIR /COPYALL /ZB /R:2 /W:2 /LOG:MigrationLog.txt
/MIR: 디렉터리 트리를 미러링합니다(소스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상의 파일을 삭제합니다).
/COPYALL: 데이터, 속성, 타임스탬프, NTFS ACL 등을 포함한 모든 파일 정보를 복사합니다.
/ZB: 재시작 가능 모드를 사용합니다. 액세스가 거부되면 백업 모드를 사용합니다.
/R:2 및 /W:2: 실패한 복사본에 대해 2초 대기 시간을 두고 두 번 재시도합니다.
/LOG: 검토를 위해 결과를 로그 파일로 출력합니다.
■초기 파일 복사:
두 서버가 모두 작동하는 동안 초기 복사를 수행합니다. 3.8TB의 경우 시간이 좀 걸릴 수 있습니다.
■델타 동기화(동기화):
초기 복사 후 다음을 사용하여 델타 동기화를 수행합니다.
다시 한번 확인하여 새 서버에 초기 복사본 이후의 모든 변경 사항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robocopy \\OldServer\Share \\NewServer\Share /MIR /COPYALL /ZB /R:2 /W:2 /LOG:DeltaSyncLog.txt
최종 동기화 시간을 최소화하려면 여러 델타 동기화를 예약하세요.
■최종 동기화 및 컷오버:
모든 변경 사항이 캡처되도록 최종 robocopy 동기화를 수행하세요.
사용자에게 예정된 컷오버를 알리고 필요한 경우 가동 중지 시간을 예약합니다.
사용자 연결을 새 서버로 전환합니다.
모든 공유 및 권한이 예상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십시오.
■확인:
모든 데이터가 복사되었는지, 권한이 올바르게 설정되었는지 확인하세요.
사용자에게 액세스를 테스트하여 모든 것이 원활하게 작동하는지 확인하세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2012 -> 2019 아무 문제없슴. pc 업데이트 수준
2008 -> 2019 문제 많음. 포기하고 2019에 vm 해서 가상화로 2008 넣어놨슴.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제가 20여대 파일서버를 2012 R2 => 2019로 EOS 업그레이드를 진행했습니다.
파일서버 공유, 도메인 참가 상태고 도메인 계정으로 권한 부여, 파일 리소스 관리 추가 설치해서 동영상 파일이나 PST 파일같은것들 차단한 상태였고
결론적으로 문제 없이 잘됩니다.
사용량이 적은 파일서버는 운영중에도 문제가 없었습니다.
실제 서비스가 중단되는 시간은 15분~30분 정도 입니다.(서버 리소스, 상태에 따라 다름..)
다만... 딱 한가지 주의 하실점..
혹시라도 데이터(파일)가 있는 볼륨에 파일 중복제거를 걸어두셨다면..
이건 신규OS와 호환되지 않습니다.
때문에 윈도우 서버의 "파일중복제거"기능을 사용하셨다면
신규 서버를 구성하고 도메인 참가하고 디스크 공간 충분히 확보하고
Robocopy 같은 Tool로 권한까지 같이 복사하신후 IP와 Host Name을 변경하시는 작업으로 이전을 하셔야 합니다.
제가 본문을 제대로 읽지않고 답변을 달았네요.
이 댓글은 윈도우 2012 R2 에서 2019 OS CD를 넣고 바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했다는 내용입니다.
중간에 "개인 파일과 앱 설정" 유지 부분만 선택하시고 진행하시면 그대로 업그레이드 됩니다.
위에 작업을 위해서는 물론 백업이 선행 되어야 하며
혹시라도 가상화로 구성된 파일서버라면 가상화용 스냅샷 정도만 찍어두고 작업하면 편하죠.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도메인 환경이시니 새로운 서버(2019)에서 최상위 폴더 공유/보안 권한만 2012와 동일하게 지정해 놓으시면하위 폴더 및 파일의 보안, 소유자 정보 등은 복사하는 단계에서 기존 서버(2012)의 것을 함께 가져올 수 있을 겁니다.
다른 분들께서 권장해 주신 대로 새 장비(2019)를 마련하신다면 대체로 아래 순서로 처리하면 될 것 같네요.
(1) 2019 장비 마련, 새 IP 지정
(2) 1차 테스트
>>일부 폴더만 2012에서 2019로 복사해서 폴더 권한 및 파일 별 소유자 정보 가져오는 지 확인
(3) 필요에 따라 2차 테스트
>> 복사 소요 예상을 위해 일부 파일 복사
(4) 전체 복사(약 1일 이상 예상: 네트워크 구성이나 파일 갯수에 따라 다름)
>> 2012에서 2019로
(5) 차등 복사 (1/2)
>> 2012에 새로 생겼거나 복사 진행 중 변경된 파일을 마지막으로 확인해서 2019로 복사
(6) 필요에 따라 IP 및 호스트명 변경
(7) 차등 복사 (2/2)
>> 2012에 새로 생겼거나 복사 진행 중 변경된 파일을 마지막으로 확인해서 2019로 복사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윈도우2012에서 2019로 바로 마이그레이션이 안될겁니다. 2016으로 갔다가 2019로 마이그레이션 해야 할겁니다. 그리고 변경이 되면 호환성이나 또는 백업을 해놓고 진행을 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이 방법이 일반적으로 안전빵(?)이긴 한데..
파일서버의 기능만 쓰는 경우는 2012에서 2019로 바로 넘겨도 되더군요.
이 밖에도 몇개의 시스템을 Inplace 업그레이드를 진행해봤는데
OS나 MSSQL 은 놀라울정도로 문제가 발생하지 않더라구요.
MS가 엄청 신경을 많이 쓴것 같습니다..
2008 에서 2019까지 올린 시스템이 있는데
이건 간단하지만 업체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구동되는것인데..
놀랍게도 문제가 없었습니다.
2008 시절의 촌스런 프로그램이 2019 OS 배경에서 구동되는게 언발란스하면서 놀랍더라구요.
이땐 2008 -> 2012 R2 -> 2016 -> 2019 이렇게 했던것 같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제가 알기로 윈도우 서버 2012에서 2019로 바로 업그레이드는 안될텐데요.
2012에서 2016으로 올리고 2016에서 2019로 두번 작업해야 하는 것으로 압니다.
그리고 업그레이드라는게 작업이 쉽긴하지만 가비지 파일이 많이 생겨 용량을
생각보다 많이 차지하게 됩니다.
다른 서비스가 없고 파일 서버만 운영하신다면 2019 서버 새로 구성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3.8TB 데이터는 그렇게 많은 용량이 아니라서 주말에 쉽게 넘기실수 있을겁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음.. 저라면 신규서버에 세팅끝내놓고 데이터 동기화를 거는 쪽으로 할 거 같은데 ...
IP라던가 hostname 문제도 있기 때문에 사전 검토할 부분이 꽤 있겠네요.
일단 확실하게 롤백할 수 있다면 질러보는 것도 괜찮습니다만...
(업그레이드하다가 실패했을때 롤백안되는 경우를 생각하고
백업본으로 다시 밀어넣는 방안도 준비해둬야 합니다.)
가장 안전한건 신규서버 구축후 데이터 밀어넣고
테스트까지 끝낸뒤 업무를 넘기는 겁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지금의 서버(H/W)를 그대로 사용하셔서 OS만 업그레이드 하실려고 한다면
먼저 2019가 해당 H/W 를 지원 하는지 체크해 보셔야 합니다.
지원 목록에 없더라도 설치는 될 수 있겠지만, 향후 Escalation 등을 할때 난감해 질 수 있습니다.
OS 업그레이드는 될 듯 한데, 그래도 가능하면 데이터 백업은 하고 하시는걸 추천 드리구요,
환경이 되신다면 한번 테스트 해 보시고 하는게 좋겠죠?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서버를 신규로 구매 하시는게 빠를것 같습니다. 잘 검토해 보시고 진행 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2012 서버 --> 2016 --> 2019 서버로 업그레이드가 필요해 보이네요
직접적으로 2012에서 2019로 올리기에 2016가 섭섭할것 같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신규 서버라면 2019 설치 가능한지도 확인 필요합니다.
서버에 따라 리눅스도 설치가 안되어서 ㅠㅠ
화일서버 솔루션 따로 구축 사용(암호화)하지 않ㄴ느다면 그냥 외장하드 붙여서 복사하고 신규 서버에 다시 복사하면 되고 아니면 신규 서버 구축 후 smb나 ftp 이용 하시면 됩니다.
3.8T이면 시간 많이 안걸립니다. 내부 네트워크와 서버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달라지긴 하지만..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새로운 컴퓨터를 구매해서 넘어 가는 거겠죠..?
2012를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는 하드웨어가 2019 OS와 호환이 된다면 바로 업그레이드를 해도 되지 않을까 싶긴해도...
2012와 2019 사이는 상당한 기간이 경과한 상태이다 보니... 아마도 하드웨어가 2019와 호화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을 것 같네요.
새 컴퓨터에 2019를 세팅해서 AD 설정해서 정상 확인한 후에 기존 파일 서버의 공유 정보와 동일하게 폴더 공유 시키고, 권한 적용한 후에 공유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복사해서 마무리하면 될 것 같습니다.
새 서버를 정식 구동하기 전에 2019 서버에 임시 IP를 넣어서 Test 및 파일 복사 작업을 하면 되겠고요.
1차 파일 복사 작업이 끝난 후에, 파일 복사 시작 시점에서 파일 복사 완료 시점까지 신규 생성 또는 변경된 파일 들만을 추려내어서 다시 한번더 복사한 후에 기존 파일 서버의 IP를 임시 백업용 IP로 변경 처리하고, 2019 서버를 2012가 사용하던 IP를 적용해서 구동하면 되겠고요.
만약 2차 파일 복사 중에도 신규 생성, 변경된 파일이 있다면 파일 서버를 완전히 전환한 이후에 백업 IP를 부여한 기존 서버에서 다시 한 번 더 변경된 파일들만 추출해서 복사해와서 파일 서버 전환작업을 마무리해서 종결처리하면 될 것 같네요.
Windows2012가 설치된 서버가 HP ProLiant DL380 Gen10 모델로 2019를 지원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다가 초반에 문제가 돼서 시작 조차 못하면 괜찮은데 어정쩡하게 중간에 문제가 될까봐 불안한 점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새 서버를 준비하고 진행하는게 괜찮겠죠? 감사드립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1.특별한 문제는 없는걸로 압니다.
2.제조사가 같은 서버 장비라면 각각의 하위 폴더 구성이나 권한도 이전 호환이 되는걸로 알고 있는데요, 물리적으로 다른 서버에 새로운 서버를 구축하시는거면 말씀하신대로 당분간 같이 운영하시면서
데이터 동기화 진행 후, 마지막 작업 1~2일 전에 공지하시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질문을 잘못 이해했네요... 잘못된 답변 죄송합니다^^;
1번은 안되는 거였군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