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저장용 서버 구축 질문

안녕하세요.

현재 Cryo-EM 분석 전용 서버로 아래와 같은 서버를 운영하고있습니다.


현재 사용자가 마스터 서버를 쉘로 접근해서 작업을 하는 구조입니다. 위 시스템에서 생성된 데이터가 약 50TB정도가 되어서 추가 파일 서버를 구축하려합니다. 


위 처럼, 다른 두개의 건물에서 파일 서버를 구축하려 할 때, NAS로 구축해야 할 지 / 파일 서버를 구축해야할 지 궁금합니다.

데이터 미러링이 아니고 추가 데이터 저장용입니다. 하지만 마스터 서버에서 간혹 접근해서 데이터 처리를 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1.NAS로 구축하는 경우에는 TrueNAS/Synology 중에 어떤 걸 추천하시는지, 물리케이블로 마스터서버인 R440 모델에 연결이 가능한지가 궁금합니다.

  • 2.서버로 구축하는 경우에는 파일 저장용 서버인데 어느정도 사양으로 구축해야하는지도 감이 안오네요..

태그가 없습니다.
서버벨은 거의 모든 브랜드의 서버, 네트워크장비, 파트 및 옵션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Sponsored http://www.serverbells.com

서버벨은 HP, DELLEMC, IBM, LENOVO, CISCO, FUJITSU, ARISTA, ARUBA 등 전반적인 IT브랜드 신품/리퍼 재고를 유지 및 서버/스토리지/네트워크/옵션/파트 등을 전문적으로 운영하는 기업입니다.

자세히 보기

15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0 추천 | 약 한 달 전

1.I/O 속도가 덜 중요하다면 Synology NAS 추천 (비교적 단순한 환경)


간단한 설정과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GUI 환경을 제공하여 비전문가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델 예시: Synology RS3621RPxs 또는 FS 시리즈.


2.고속 데이터 처리가 필요하다면 TrueNAS 추천 (확장성과 성능 중시)


ZFS 파일 시스템으로 데이터 안정성과 성능을 모두 확보.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하거나 고속 네트워크 구성 가능.


3.최대 성능 및 유연성이 필요하다면 파일 서버 구축 (유연성과 성능)


사용자 수와 데이터 처리량이 많거나 맞춤 설정이 필요하다면 파일 서버가 유리.

스토리지 서버를 별도로 구매하거나, Dell R740xd 같은 스토리지 확장이 가능한 서버를 추천.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약 한 달 전

한가지 이해가 안가는 것은 마스터 서버의 GUI 특성상 Network 로 데이터를 가져오지 못한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NAS 장비나 파일서버를 사용할 경우에는 동일하게 Network 를 통해서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방식입니다. 이 경우에는 가능하다는 것인지 궁금하구요,

만약 된다면 NAS를 구성하시는게 관리나 안정성 측면에서 좋을 것 같구요,

위 사항이 문제가 된다면 다른분 말씀 처럼 DAS 스토리지를 추가해하고 

사용자가 해당 데이터에 접근하고자 할 경우에는 마스터 서버를 통해서 접근하게끔 구성을

하는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Reply

게시글 작성자 | 약 한 달 전

특정 GUI를 사용하는 시스템 한개만 Network로 가져오지 못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NAS나 파일 서버를 사용하는 경우에 Network가 아닌 다른 물리적 방법으로 연결하고자 했습니다. 

최종적으로 동일한 DAS를 추가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라고 판단했습니다. 감사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약 한 달 전

답변 참고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1 추천 | 약 한 달 전

1.두개 NAS를 비교 했을때  

 -TrueNAS는 고성능/확장성/커스터마이징이 중요할 때 적합.

 -Synology는 간단한 설정과 사용자 친화적 운영을 선호할 때 적합.


 -스토리지 네트워카드에 따라 HBA , iSCSI 케이블로 연결 가능 합니다. 


2. 내부 인원과 사용빈도 그리고 매월 사용 용량을 예측했을때 1년 그리고 3년을 고려해

   보시고 여유율을 따져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NAS vs 서버 비교

항목

NAS

파일 서버

설치 및 관리

쉽고 직관적

복잡하고 세부 설정 필요

성능/확장성

제한적

유연하고 확장 가능

비용

초기 비용 낮음

초기 비용 상대적으로 높음

사용 사례

소규모/중간 규모 데이터 저장

대규모 데이터 저장 및 고급 처리 작업

Reply

게시글 작성자 | 약 한 달 전

답변 감사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약 한 달 전
  • 1.NAS로 구축하는 경우에는 TrueNAS/Synology 중에 어떤 걸 추천하시는지, 물리케이블로 마스터서버인 R440 모델에 연결이 가능한지가 궁금합니다.

  • 1.TrueNAS 오픈소스라 시놀로지와 안정성을 고려하면 그래도 판매하는 제품이 좀 더 안정성이나 보안적으로 높지 않을까 싶습니다. 시놀로지도 Rack 형태 제품이 나오고 취약점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해주니 관리 측면에서도 좀 더 원할하지 않을까 싶어요, 서버랑 다이렉트 물리케이블 연결은 랜포트만 여분 남아 있으면 둘이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2.서버로 구축하는 경우에는 파일 저장용 서버인데 어느정도 사양으로 구축해야하는지도 감이 안오네요..

  • 1.스토리지를 서버로 구축한다면 오픈소스 사용량 제외하고 트래픽 및 I/O 고려해서 하시면 됩니다. 데이터 전송은 CPU,RAM 영향 둘 다 많이 받습니다. 전송량이 많고 암호화나 압축, 프로토콜 처리는 CPU 영향을 받고, 다중 연결이나 디스크 I/O 줄이고 전송 속도를 높이는 캐싱 관련된 부분은 RAM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기존 스토리지 서버 현재 리소스와 데이터 전송 또는 주로 하는 작업 시점에 모니터링을 통해서 산정하시면 도움이 될 듯 합니다.!

Reply

게시글 작성자 | 약 한 달 전

답변 감사합니다. 참고하겠습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약 한 달 전

NAS로 데이터 저장용 서버로 구축해서 사용하면 될듯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약 한 달 전

제일 편한건 DAS 하나 더 달면 될 듯 합니다.


MD14 확장베이 지원 안되는가요?


아니면 추가로 하나 더 달아도 되고요. 구성을 간단하게 하는게 좋을 듯 합니다.


백업 목적이면 NAS이지만...

Reply

게시글 작성자 | 약 한 달 전

안그래도 그 방법이 제일 안정성 있을 것 같아. 하나 추가 후 호환 가능한지 솔루션 상담실 견적 요청했습니다 ㅠ 감사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약 한 달 전

데이터 유지의 안정성을 위함이면, 서버를 구성하여 디스크의 RAID 구성과 백업솔루션을 통한 방법이 좋을듯 싶습니다.

NAS는 파일 공유와 접근이 쉽고 구성하기도 쉽지만, I/O가 많게 되면 아무래도 디스크다 보니 계속된 I/O를 통해 디스크가 깨질 우려가 있습니다.

그렇다고 NAS를 RAID구성하기엔 힘들고,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니 잘 보고 결정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Reply

게시글 작성자 | 약 한 달 전

답변 감사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1st 5stars

0 추천 | 약 한 달 전

데이터 저장용 서버를 NAS ( Network Attached Storage )라고 합니다.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해서 사용하는 저장장치인거죠.

전문 제조사에서 NAS 전용으로 만들어진 저장 장치가 다양하게 출시되어 있는데... 사용하는 OS와 기능, 성능에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이 Linux OS에 SAMBA 서비스를 올려서 구동합니다.

Window OS에 공유 폴더를 사용하는 방식의 NAS 서버도 가끔있긴하지만, 비용이 높고, 안정성이나 보안적인 면에서 Linux OS를 사용하는 것보다 못한걸로 알고 있고요.

NAS 전용으로 제조되어 판매하는 서버(장치)들은 NAS 전용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구매하는 컴퓨터보다 성능이 낮은게 일반적입니다.

단지, 적당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구성해서 비용 효율적인 구성으로 판매하고 있고요.

불필요한 서비스들을 최대한 제거해서 불필요하게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이 끼치지 않도록 소프트웨어들을 구성해 두었다고 보면 되겠고... 제조사마다 NAS 서버를 운영 관리하는데 필요한 부수적인 기능들을 자체적으로 만들어 추가적으로 탑재했다는 것도 중요한 내용이라 할 수 있겠고요.

많이 접할수 있는 Debian이나 Rocky, Redhat, SUSE 등등의 리눅스에 SAMBA 서비스를 올려서 NAS 서버를 직접 구성해서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다른 컴퓨터에서 NAS에 연결할때는 윈도 공유폴더와 동일한 SMB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요.

NFS나 iSCSI 등등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네트워크 저장장치를 블록 디바이스로 마운트 시켜서 로컬 디스크와 유사하게 사용하기도 하고요.

편하게 이용하고 싶다면 시놀리지나 QNAP 등등의 NAS 전문 제조사 제품을 사용하는 것도 괜찮은 것 같고요.

자신이 직접 구성해 자신만의 시스템 구성으로 필요한 서비스를 올려서 사용하고 싶다면 컴퓨터를 이용해서 직접 만들어 사용해도 됩니다.

일반 컴퓨터에 디스크 도킹스테이션을 연결해서 NAS용 가상 컴퓨터를 구동해서 NAS를 운용하고 있는데 아주 만족하고 있습니다.

용량이 부족하거나 용량을 더 확장하고 싶다면 디스크 도킹스테이션을 추가로 장착해서 디스크를 추가 장착해서 사용하면 되다 보니... 원하는 만큼 용량 확장도 가능하고요.

하드웨어가 오래된다면 성능 좋은 최신 컴퓨터를 새로 마련해서 가상 컴퓨터를 옮겨 버리면 기존 NAS 환경을 그대로해서 새 컴퓨터로 단순한 복사만 으로도 빠르게 하드웨어를 변경해서 사용할 수 있고요.

추가적인 기능이 필요하다면 필요한 서비스 프로그램을 추가 설치해서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 확장도 얼마든지 가능하고요.

기성 NAS 제품을 사용할지, 직접 NAS를 구성해서 사용할지 잘 판단해서 선택해서 사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NAS는 시놀리지가 일반적으로 많이 선호됩니다.


Reply

게시글 작성자 | 약 한 달 전

답변 감사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답변 달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IT 솔루션 또는 하드웨어 도입을 검토 중 이신가요?

쉐어드IT 솔루션 상담실에서 믿을 수 있는 제품과 업체를 추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솔루션 상담실 IT 컨시어지 서비스

스토리지/백업 카테고리의 다른 질문들...

  • 22일 전
  • 댓글 : 12일 전
  • 29일 전
  • 댓글 : 25일 전
  • 29일 전
  • 댓글 : 28일 전
  • 약 한 달 전
  • 댓글 : 약 한 달 전
  • 4달 전
  • 댓글 : 24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