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 반차여서 중간에 퇴근하는데 퇴근하려고 컴퓨터 만지는 순간
블루스크린 뜨더니 재부팅 되고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로그인 하라고 뜨더라구요...
일단 갈 일이 있어서 나왔는데 지금 집오니 궁금하네요
회사pc의 경우 회사 마이크로소프트 계정같은게 따로 있나요??
아니면 그냥 개인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로그인해도 상관없는지 궁금합니다..
3개월차인데 별 거 아닌거같은것도 모르는 게 너무 많네요
안녕하세요
오늘 반차여서 중간에 퇴근하는데 퇴근하려고 컴퓨터 만지는 순간
블루스크린 뜨더니 재부팅 되고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로그인 하라고 뜨더라구요...
일단 갈 일이 있어서 나왔는데 지금 집오니 궁금하네요
회사pc의 경우 회사 마이크로소프트 계정같은게 따로 있나요??
아니면 그냥 개인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로그인해도 상관없는지 궁금합니다..
3개월차인데 별 거 아닌거같은것도 모르는 게 너무 많네요
윈도 11 설치할 때 Microsoft 계정이 필요 합니다.
그래서 일론머스크가 윈도11 설치하다가 계정을 입력해야 하는 것을 보곤 헉 하고 놀랐었죠.
오프라인 상태에서 설치하는 방법도 있다고 하던데요.
아마도 설치할 때 입력했던 Microsoft 계정을 입력해야 하는 부분였을 것입니다.
종종 이런경우 원인은 다양해서 꼭 집어 내기가 애매합니다.
우스게 소리로 그냥 껐다 켜 라고 하는데, 이런 경우 해결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전자기기이다 보니 내부적으로 문제가 생겨서 생기는 현상이니
로그를 우선 확인해보세요.
요즘 윈도우11설치시 MS계정을 생성후에 로그인하는 게 있습니다.
옛날에는 그냥 단순히 계정명 암호만 생성하여 진행되었지만 그것과는 별개로 MS계정 로그인 후 진행하는 것도 있어 그게 나온걸로 보여집니다.
일반적인 윈도우의 관리자계정의 administrator 과 비슷하다고 보면 됩니다.
아니면, 회사 내에 Azure AD가 있어서 나올수도 있고요. 여러가지 원인에 따라 나올수가 있긴 하겠지만
퇴근전 블루스크린 후에 나온다는걸 봐서는 자주 컴퓨터 종료 후 사용했다는걸 의심할 수 있고 그과정에서 MS가 한번도 나오지 않았다는건 그냥 MS계정 무시하시고 기존 계정으로 로그인하셔도 될것 같습니다.
MS가 Window OS 자체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점차적으로 전환시키려는 전략이 아닐까 하는 강한 느낌이 드네요.
로컬 계정을 점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하고, 반 강제적으로 MS 계정을 발급받게 만들어서 서브스크립션으로 전환시켜 둔 후에 계정을 유료화 정책을 사용해서 유료 회원과 무료 회원에 대한 기능 차별화를 시도 하고, 어느 시점에 가서는 기업 회원으로는 일정 비용을 지불하면서 서브 스크립션 방식으로 Window OS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몰아 가려는게 아닐까 싶어 보이네요.
겉으로는 로컬 계정을 막아 뒀지만... 로컬 계정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반 편법적이지만 아직은 로컬 계정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열려 있긴 하죠~
개인 계정으로 로긴해서 net user /add admin 명령으로 admin 로컬 계정을 생성할 수 있고요. admin이 아닌 다른 계정을 사용하고 싶다면 다른 계정으로 생성하면 되겠고...
net user admin 암호 명령으로 생성한 admin 계정에 대한 암호를 지정해 주면 되겠고요.
net localgroup administrators admin /add 명령을 이용해서 생성한 admin 계정에 관리자 권한을 부여해서 사용하면 될 것 같네요.
예전 자유 게시판에 머스크가 새 윈도우 노프북 구매하고 대노했다는 글을 올렸었는데...
이글도 참고하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어 보이네요.
https://www.sharedit.co.kr/freeboards/22745
새 윈도 컴퓨터에 MS 계정없이 로컬 계정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아래 링크 자료를 참조해도 도움이 될 것 같아 보이네요.
버전에 따라 약간씩 다른데요.
제가 알기로 home edition은 기본적으로 설치 후 시작할때 MS 로그인 해야됩니다.
물론 우회하는 방법이 있긴 하지만 무조건 인것으로 알구요.
pro edition은 로컬 계정으로 가능합니다.
그리고 enterprise edition은 azure 계정 있어야 하구요.
휴대폰의 경우 안드로이드는 구글 계정이 필요하고 iOS는 애풀 계정이 반드시 필요한 것처럼
pc도 비슷하게 흘러가서 ms에서 계속 로그인을 유도하고 계정 생성을 유도하긴 합니다.
게시글 작성자가 남긴 피드백입니다.
다행히 다음날 키니깐 되네요 ㅎㅎ 일시적인 부분이였나봐요
모두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