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운영 #윈도우 #서버 #파일서버

파일서버 요즘은 어떻게 구축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제조업 2인 전산러입니다.

파일서버를 교체할 때가 되어서 글을 올려봅니다.

현재 저희 파일 서버는 단순히 윈도우 서버로 공유폴더로 네트워크 공유를 걸어놓고 각 직원마다 로컬 사용자 계정만들어줘서 접속하여 쓰고 있습니다.

매우 간단하죠?

너무 간단해서 고민이네요

다른 회사들은 어떻게 사용하는지도 궁금하고 요즘 트렌드는 어떻게 쓰고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클라우드 서버를 고민하기도 하고, 문서 중앙화 솔루션을 고민하기도 하는데 정하기 힘드네요.


질문을 정리하자면

  • 1.파일 서버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다른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2.지금처럼 온프레미스 환경으로 윈도우 서버로 파일 서버를 구축하려면 성능이 좋아야하는데 어떤 것을 신경써야할까요?

서버벨은 거의 모든 브랜드의 서버, 네트워크장비, 파트 및 옵션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Sponsored http://www.serverbells.com

서버벨은 HP, DELLEMC, IBM, LENOVO, CISCO, FUJITSU, ARISTA, ARUBA 등 전반적인 IT브랜드 신품/리퍼 재고를 유지 및 서버/스토리지/네트워크/옵션/파트 등을 전문적으로 운영하는 기업입니다.

자세히 보기

18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0 추천 | 4달 전

예전에는 Windows 서버에 공유를 걸어서 파일서버를 많이 사용했지만 

요즘에는 NAS 스토리지를 별도로 도입해서 사용합니다. 시놀로지나 큐냅 같은 회사의 제품을 많이 사용하고 계정연동도 가능 하니 검토해 보시기 바랍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4달 전

NAS 도 S/W,  H/W 방식이 있습니다. 모든 제품이 그런진 모르겠지만,  S/W 방식 NAS 사용하다 용량이 꽉 차니  먹통 증상이 생긴적이 있습니다. 복구 비용도 들고,   지금은 H/W 방식의 NAS  2대로 하나는 백업용

도로 구성해서 사용중입니다.  어느정도 규모가 되는 곳이면 H/W 방식으로 가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비용은 몇천(?) 만원 들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제조업 1인 전산러 입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4달 전

Synology 추천합니다~

규모가 어느정도일지 가늠이 안되나~

AD 이용 중이라면 더욱 편하게 설정 가능합니다.

제품도 다양하니 참고하세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4달 전

어짜피 시놀로지 

중소기업 투자비때문에 nas외 방법이 없고 하드하나가 왜 100만원씩 하냐고 하는회사에서 답없슴.

백업툴 몇천만원하는데 투자힘들고

중견은 돼야 여러가지 툴이 가능

질문자님처럼 파일공유걸어 놓고 부서별 파일공유하고 

개인폴더 만들어주고 

개인폴더에 시놀로지 백업걸어 중요위치만 백업걸어놓고 

회사 암호정책때문에 92일마다 암호 변경하도록되어있는데 사용자들 자기가걸오놓은 비번 기억하는 사람을 못봄.. 매번 변경요청

비번변경하면 기존에 윈도우 파일공유걸어놓은거 다시 재설정해야하는데 할줄모름. 

매번 설정다시해주고 

돈 조금더주고 서버백업툴 사용하는게 훨씬편한데도 불구 이따구로 쓰고있슴

nas하나에 서버 백업, 개인백업하고, 개인백업을해놓는이유는 랜섬웨어도 있지만 퇴사시 파일지우고 나가는 놈들때문에 

서버는 3개월 pc는 1주일 스냅샷 걸어놓고 

거기에 랜섬웨어 때문에 별도 하드에다 부서공유되있는것들 3개월마다 백업

nas라도 한대더있슴 편할텐데...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4달 전

백업과 복구, 복원이 중요하다면 클라우드로 가야죠.

그런게 아니면 로컬에 구성 해야겠죠.


회사에서 투자만 확실하다면, 관리자 입장에서는 클라우드 추천 드립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4달 전

NAS를 많이 사용하긴 했었는데

요즘은 클라우드를 많이 사용하는 듯 하네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4달 전

라이선스 비용 때문에 윈도우 서버는 조금 후순위로 고려하시는 게 좋을 듯 합니다.

EA 계약 등으로 라이선스에 전혀 문제가 없으면 현재처럼 사용하셔도 되긴 하겠지만

단순히 공유폴더 목적이라면 NAS 도입하셔서 구축하셔서 사용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클라우드도 있겠지만 매월 또는 매년 발생하는 비용 고려하시면 온프레미스 장비로 도입하는 게 

아무래도 비용적인 측면에서는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추후 백업까지 고려하면 비용을 더 고민해봐야

할 것 같구요 !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4달 전

굳이 Windows 서버로 하실 필요가?

라이선스 비용도 나가고 NAS 스토리지로 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장단점이야 있겠지만 NAS가 편의성과 유용성외 관리측면에서도 괜찮습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2 추천 | 4달 전

현재 방식 vs 추천 방식




요즘 트렌드는 기존 파일 서버를 유지하면서 Azure Files Sync, AWS FSx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와 동기화하는 클라우드와 연동된 하이브리드 파일 서버 입니다.

이런 경우,  온프레미스 대비 장애 복구(DR) 및 확장성이 뛰어납니다.

  

온프레미스를 유지하려면 AD 기반 인증과 백업 시스템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하세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4달 전

답변 참고합니다.

파일 서버 구축 오랜만에 들어 보는것 같습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4달 전

제가 생각해도 요즘 NAS 장비가 많이 저렴해 지기도 하고, 관리도 편하게 나오고 있으니

NAS 구축을 고려해 보시는게 어떨까 하네요.

향후 데이터 백업도 고려를 해야 할 텐데, 이럴땐 Replication 도 지원을 하고 있으니

다양한 옵션으로 구축을 하실 수 있을꺼에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1st 5stars

1 추천 | 4달 전

NAS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 않을까 싶어 보이고요.

윈도 공유 폴더를 사용하는 것도 NAS와 유사한 방법이긴 하지만, NAS를 사용하는 컴퓨터를 다른 용도로도 함께 사용한다는 의미가 될 수도 있고... 윈도 서버를 공유 폴더 서버로 사용할 경우에 접속하려는 클라이언트 수량만큼의 CAL 라이선스가 요구되어 추가적인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겠고...

윈도 PC를 공유 폴더로 사용할 경우에는 동시 접속할 수 있는 접속자 수량이 제한되어 불편한 점이 많이 있겠고요.


혼자만의 독특한 방법으로 리눅스 가상 컴퓨터를 이용해서 NAS 서버를 만들어 사용합니다.

대부분 NAS 제품들이 리눅스에 SAMBA 서비스를 구동해서 NAS 장치를 구성해서 판매하고 있긴 하지만...

가상 컴퓨터를 여러개 올려서 여러대의 NAS를 사용할 수도 있고, 용량이 부족하다면 추가적인 디스크를 계속적으로 장착해서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NAS의 저장 장치를 끌어다가 사용할 수도 있고...

확장성, 관리 편의성, 등등 여러가지 장점이 있네요.

리눅스 호스트 컴퓨터 NAS용 리눅스 가상 컴퓨터를 올리고, 디스크 도킹 스테이션을 장착해서 다른 건물 2곳에 이미 운영하고 있는데, 이방식이 다른 방식보다 좋아서, 한대 더 구축하려고 내부 기안을 진행중에 있네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4달 전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모두 장단점이 있는데, 2인 전산팀이라면 관리 부담을 고려하셔야 할 것 같네요.

Synology나 QNAP 같은 NAS 도입을 추천드립니다. 초기 비용은 있지만 백업/권한관리가 편하고, RAID로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어요. 클라우드는 MS365나 구글 워크스페이스도 좋은 선택지고요.

현재 방식을 유지하신다면 Active Directory 도입과 RAID 구성은 필수로 고려해보세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4달 전

시놀로지 나스 구매하여 구축을 하고 있습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4달 전

NAS 추천드립니다. 각 계정별, 아니면 부서별 폴더 생성, 용량 할당해서 화일 공유나 단말 백업 하도록 하시면 편합니다.


스냅샷도 지원합니다.


아니면 리눅스에 samba로 처리하셔도....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4달 전

예전에는 FTP나 AD를 이용하여 공유폴더로 파일서버를 사용하곤 했습니다.

그리고 NAS로 변경도 되었고요. 그러다가 랜섬웨어의 이슈가 생기면서 문서중앙화 개념이 생기고..

문서중앙화도 사용하고 있긴 한데, 워낙 가격이 비싸서, 요즘은 다시 NAS를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솔직히 권한이랑 관리만 잘하면 NAS도 좋긴합니다. 가성비가 좋기때문에.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4달 전

NAS / 클라우드스토리지 / 문서중앙화

보통 파일서버는 씨퓨 메모리 크게 안탑니다. 디스크 IO 및 네트워크 속도 신경써주시면 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4달 전

여유가 되신다면 클라우드 형태가 관리하긴 편해요.

비용은 들어가지만 보안, 통제, 시스템 관리면에서 좋습니다.

비용 부담이 있으시다면 NAS가 가장 무난하지요.

관리도 윈도우 서버 관리보다 편하구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답변 달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IT 솔루션 또는 하드웨어 도입을 검토 중 이신가요?

쉐어드IT 솔루션 상담실에서 믿을 수 있는 제품과 업체를 추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솔루션 상담실 IT 컨시어지 서비스

IT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질문들...

  • 6일 전
  • 댓글 : 5일 전
  • 7일 전
  • 댓글 : 7일 전
  • 19일 전
  • 댓글 : 8일 전
  • 21일 전
  • 댓글 : 16일 전
  • 26일 전
  • 댓글 : 12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