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횐님들.
공유오피스 사용 중인 꼬마인데요, 현재 공유 오피스 내 2개의 MFP(HP)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현재 저희 회사의 요구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최대한 공유기를 사용하지 않고 MFP와 Laptop을 연결해서 사용 희망
2) 외부에서 MFP를 모니터링(카트리지 및 사용량등 체크) 할 수 있도록 방화벽 개방(Hp에서 제공하는 WEB SERVICES for cDCA connection)
관련해서 공유 오피스측에 요청하니 아래와 같이 답변이 왔습니다.
1) 공유기 사용을 희망하지 않으면 2개의 MFP에 별도의 고정 IP 및 VLAN 설정 필요
2) 무선 LAPTOP과 유선으로 연결된MFP의 통신을 위해 Priority Service 설정 필요
3) 이 과정에서 Static IP 및 Priority Service 신청 등에 따른 비용 발생
뭔가 눈탱이를 맞고 있는 느낌이 드는데 네트워크 기술적으로는 공유오피스에서 제공한 솔루션이 합당한가요?
만약, 이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저희가 공유기를 사용한다면, 저희 쪽 공유기 1개 설치 -> 1개의 공유기에 2개의 MFP 연결 후 1개의 공유기에 Static IP(이 과정에서 별도의 비용 발생)를 부여 받으면 MFP 모니터링 하는데 문제가 없는지, 무선 LAPTOP과 유선으로 연결된MFP의 통신을 위해 Priority Service 설정 필요하지 않은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 추가적으로 걱정되는게 공유오피스 내 서버실에 1개의 공유기를 두면 무선신호가 저희 오피스까지 안 뿌려질까봐 걱정입니다...
두서없는 질문 죄송합니다.
16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답변 참고합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공유오피스에서 개인적인 네트워크 사용은 장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이므로 권장하지 않을거 같은데,
그렇지 않은 곳 같습니다.
공유오피스에서 가이드 하는대로 사용하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나름대로 네트워크 구성도를 감안해서 가이드 했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공유오피스 측 제안은 기술적으로 가능한 구조지만, 복잡하고 비용이 과도할 수 있습니다. 공유기 1대 설치해서 2대 MFP 연결하고, 노트북은 같은 공유기 Wi-Fi 쓰게 하면 훨씬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구축 가능합니다. 또한, HP의 MFP 외부 모니터링(Web Services)는 대부분 포트포워딩 없이 아웃바운드 허용만 해도 동작합니다.
이런 방안도 있으니, 참고해보세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Priority Internet service is a new service we can now offer that provides a more secure private vlan via wired and wireless. It also improves Internet speed and provides a more stable network connection for client devices.
a. The customer needs to provide a primary contact email address as admin account to self-manage their Priority Internet Wi-Fi credential.
b. Please note (printers/VOIP phones/Cameras) need to be wired to a data jack.
c. Wireless connection uses WPA2-enterprise security protocol for authentication to private wireless vlan.
d. Required to register mac address of all devices as authentication to private VLAN.
랩탑이 무선으로만 연결하더라도...
AP를 통해서 유선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와이파이용 기기가 AP와 무선 공유기로 구분되어 있긴 하지만, AP에도 라우터 모드로 무선 공유기와 같은 상태로 운영 가능하고, 무선 공유기도 스위치 모드로 운영해서 AP 처럼 사용 가능하고요.
스위치 모드 설정이 없는 무선 공유기라도 WAN 포트와 자신의 LAN 포트를 직접적으로 연결 시켜서 스위치 모드로 사용할 수 있고요.
무선 랩탑을 사용하더라도 내부 와이파이에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을 것 같은데...
내부 와이파이용 기기를 스위치 모드로 구성해서 내부 와이파이를 통해서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프린터에 직접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VLAN은 동일한 스위치에 연결되는 포트들에 대한 격리를 위한 기능입니다.
전달받은 내용은 요구 내용을 잘못 이해한 것인지 아니면, 탁상행정적으로 부수적인 보안 문제를 중심에 둔 내용으로 보여지고요. 질문자께서 요구하는 내용을 벗어난 답변을 한 것으로 보이네요.
랩탑이 무선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유선으로 사용하면 될것 같습니다.
공유 오피스가 유선이 없이 무선만 제공하는 구조인가요?
@데몬
아닙니다, 유/무선 다 제공하는 구조이구요.
회사 내부적으로 MFP 연결을 위한 별도의 랩탑(유선연결)을 구비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오가네요.
랩탑에도 USB 포트 있죠?
USB LAN 어뎁터 사용해서 유선으로 프린터 연결해도 되고요.
유/무선 구성되어 있는 상태면 랩탑에 랜포트 usb 쓰시면 문제 되는 부분은 없을 듯 합니다.
방법은 2가지에요 !
MFP 유선이 기본이면 사용자 랩탑을 랜포트 있는 허브 사서 모두 사용하던가,
내부 공유기 구성해서 MFP 및 랩탑 유/무선 사용하게 하던가
선택해서 진행하시면 될 듯 합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제가 아는 공유오피스는... WIPS를 사용해서 자체적으로 무선신호가 나오면 죽여버리는곳도 있어서..
그게 없다고 하면 공유오피스에 공유기 설치해서 DDNS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접속하는건 설정이 어렵지 않으니 그렇게 사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내부도 공유기에 허브를 사용하면 뭐 다 될것 같고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중소규모 사무실에서는 자체 공유기 활용이 경제성과 유연성 측면에서 우수합니다. 단, 공유기 물리적 배치와 주기적인 보안 점검이 필수적이며, 신호 약화 시 TP-Link Deco X50 등의 메시 시스템 도입을 추천드립니다!
추가 추천방안
1. 공유기 1대 + 고정 IP 1개로 설정하고, 필요시 무선 AP를 추가하는 것이 가장 비용 효율적인 방법.
2. 공유기 설정 시 포트포워딩으로 HP Web Services 포트(일반적으로 TCP 9100, 443, 631 등)를 각 MFP로 연결하면 외부 모니터링 가능
3. 공유오피스 측에 제안된 비용의 상세 내역을 요청하여 시장가와 비교 검토~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1) 공유기 사용을 희망하지 않으면 2개의 MFP에 별도의 고정 IP 및 VLAN 설정 필요
- 다른 회사에서 접속하지 못하게 하기위해 VLAN 설정을 하려는 걸로 보입니다.
2) 무선 LAPTOP과 유선으로 연결된MFP의 통신을 위해 Priority Service 설정 필요
- QoS를 걸어야 하는 이유는 모르겠네요.
3) 이 과정에서 Static IP 및 Priority Service 신청 등에 따른 비용 발생
- 공유기를 사용하지 않으니 IP는 필요한게 맞는데 Priority Services는 불필요해 보이네요.
IP가 공인 IP인지 사설 IP인지 모르겠지만 공인 IP는 사용시 마다 비용을 받을걸로 보입니다.
사설 IP라고 하면 외부에서 접속을 하기위해 공인IP 또는 공유 오피스측 VPN 연결도 필요해 보이고요.
공인 IP를 사용한다면 한대의 공유기에 노트북 및 MFP를 연결하여 사용하면 IP 하나만 있으면 되는게 맞습니다.
공유기에 DDNS 설정 및 포트포워딩 설정 하시면 외부에서 관리페이지 접속에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MFP(고정 IP: 192.168.10.100, 101)와 노트북을 동일 VLAN에 배치하고
ACL로 다른 테넌트와 격리하여 HP Web Services를 위해 HTTPS 아웃바운드 허용하면 어떨지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네트워크 프린터 2대를 공유 오피스에 사용하고 있다는 내용이 되겠고...
외부에서 프린터의 잉크 사용량 등을 체크 하고 싶다는 내용인걸로 보이네요.
외부에서 프린터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보다는 관리용 컴퓨터에 원격 연결해서 프린터를 관리하는 방식이 좋을 걸로 보여지네요.
공유 오피스 측의 답변에서 VLAN 설정 필요하다는 건 VPN 설정을 잘못 이해한게 아닌가 하는 느낌이 들고요.
인터넷이 가능한 환경이라면 추가적인 공유기의 설치는 필요하지 않아 보이고요.
인터넷이 불가한 곳이라면 외부에서 접근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이 가능한 환경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최소한 한개 이상의 인터넷 접속을 할 수 있게 해 주는 공유기 ( 인터넷 공유기, 방화벽 등 )가 있어야만 가능하겠고요.
Static IP 라는 것은 고정 IP를 의미하는데...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프린터 같은 서버 역할을 하는 기기들은 고정 IP를 할당해서 사용하게 됩니다. 유동 IP를 할당할 경우에는 변경되는 IP 주소로 인해 서버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고정 공인 IP를 Static IP로 잘못 이해한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네요.
복잡하게 프린터넷 추가적인 설정을 변경한다거나 공인 IP를 할당해서 어떻게 해 보려 하지말고, 프린터는 기존 사용하던 환경 그대로 유지하고, 랩탑이나 다른 컴퓨터 한대를 프린터 관리용으로 지정해서 외부에서 원격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서 관리용 컴퓨터를 통해 프린터의 상태를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쉽고 간단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관리용 컴퓨터를 외부에서 원격 연결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VPN을 통한 가상 사설 망을 구성해서 사용하는 방법도 있고요. 팀뷰어나 리무터 콜 등의 상용 원격 제어 솔루션을 사용해도 되겠고요.
크롬의 원격 데스크 탑을 무료로 이용할 수도 있겠고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해당 공유 오피스에 개인적으로 공유기 사용하는 데 문제되지 않는다면,
iptime 공유기 구입해서 공유기 자체에서 DDNS 설정해둔 다음
외부에서 DDNS로 프린터 페이지 특정 포트를 지정해서 도메인으로 접속하게 만들어주면 가능은 합니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DDNS 구성해주고,
프린터 IP + 포트를 외부에서 접속 가능하도록 맵핑해준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일단...왜 프린터를 굳이 모니터링 하려는지가 의문이긴한데요...
그냥 해당 내용 보면 돈안들이고 간단하게 하는방법은
IPTIME 공유기 하나 구입 -> ddns 설정 및 포트포워딩 설정 -> 외부에서 ddns 및 특정포트로 내부 프린터 관리페이지 접속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