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와이파이 장애

안녕하세요. 현재 초보 IT 인프라 담당자입니다. 

저희 회사는 약 70명 규모입니다. 


네트워크 구성도 

UTM [Axgate]

l

스위치[PIOLINK 2726G]

l

Iptime 공유기 2대 (A8004T) 


대부분 고정 IP로 유선을 사용하고 있으며 회의 진행 시 무선으로 사용하는데 잘 잡혔다가 안잡혔다가 합니다. 


AP가 특정 인원에게는 잘 되는데 특정 인원에게는 안돼서 초기화를 돌렸습니다. 그 후 SSID와 패스워드 설정이 되어있지 않을때는 모두에게 잘 됩니다. SSID 와 패스워드만 설정하면 말씀 드린 오류가 계속 발생하는데요, 혹시 왜 그런지 아시는 선생님들 계실까요? 

태그가 없습니다.

14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0 추천 | 9일 전 | 제이컴즈 | 010-2871-8756

개인적으로 아이피 타임 공유기는 회사에서 사용하는 건 비추천 합니다.

저렴한 가격 때문일지 몰라도 제품 성능이나 안전성에 문제가 많은 거 같아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10일 전

답변 참고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22일 전

AP 인증 설정(SSID + 패스워드) 이후에 문제가 생기고,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에선 문제가 없다는 점에서 무선 보안 설정(WPA2 등)의 충돌이나 호환성 문제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참고해서 체크해보세요.


1. 공유기 펌웨어 최신으로 업데이트

2. SSID → 영어/숫자 조합, 30자 이내, 특수문자 제거

3. WPA2-PSK(AES) 단독 모드로 설정 (혼합모드 비활성화)

4. DHCP 풀 범위 확인 및 고정 IP 충돌 방지

5. Iptime 2대 → Mesh 구성 혹은 SSID 분리


70명 규모면 일반 공유기 대신 -> AP 전용 장비 (예: Aruba) 도입 검토해보셔도 좋습니다. 컨트롤러 기반으로 무선 로밍, 인증 안정성이 훨씬 높아지고, 비용도 많이 비싸지 않아서 장기적으론 더 안정적입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23일 전

다른 것들은 모두 확인해보셨을거 같고요.

채널을 확인해보세요.

채널 값에 따라 간섭이 발생할 수 있어서 Auto로 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채널로 변경한 후에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24일 전

와이파이 보안인증 방법쪽으로 체크해보세요.

그쪽이 가장 의심스럽네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1 추천 | 24일 전 | 제트정보기술 | 070-4155-9447

중견급 제조업, 학교 무선 구축하는 업체입니다. 

둘중 하나 일 듯합니다. 

하나, 각각의 AP간 주파수 충돌로 인한 현상 가능성. 

둘, 방화벽에 WIfi DHCP 대역 설정으로 돌고 있는데 각각의 AP가 공유하는 상황.

방화벽, 스위치, AP 제품명으로 보아 통신사에서 임대 또는 세팅 했을 것으로 보이는데...

저런 문제 많이 발생해서 AP 재구매해서 재 세팅합니다... 

  • 사무실에서 각각의 AP간 SSID 가 무분하게 겹치다 보면 저렇게 잘됐다가 끈어졌다가 합니다. 

저럴땐 이름있는 제품으로 하나의 Wifi 로 구성하는게 제일 빠릅니다. 싼데에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

Reply

게시글 작성자 | 24일 전

안녕하세요 선생님! 이름있는 제품으로 하나의 wifi를 구성하고 싶습니다. 
혹시 12층 13층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이 하나의 wifi로 가능할까요? 

Reply

| 23일 전

안녕하세요 (주)코레이즈입니다.


원하시는 기능은 Roaming 기능으로 하나의 SSID(WiFi이름)으로 12층, 13층 연동이 가능합니다. 대부분 기업용 브랜드 제품은 가능한 기능입니다.

추가로 무선 VLAN을 통합해야되는 이슈가 있을 수 있습니다.
무선이 끊기는 이유는 매우 다양합니다.

아래 게시물을 참조 하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http://coraise.kr/wireless-troubleshooting/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24일 전

자동 저장 해놓고 왔다갔다 하면서 가까워질땐 연결됐다가 멀어지면 떨어지고,

혹은 노트북에서 와이파이 켜논상태에서 유선랜꼽아서 사용하고 (두개 다 on)

제 경험상 그런경우에 오류가 나는걸 많이 봤습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24일 전

chatGPT는 아래와 같이 알려주네요.

SSID와 패스워드를 설정한 후 일부 단말기에서 무선 AP에 접속할 수 없는 문제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그 중 몇 가지 가능한 원인과 해결 방법입니다:

  • 1.호환성 문제:

  • 일부 구형 단말기는 최신 보안 프로토콜(WPA3 등)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무선 AP의 보안 설정을 WPA2로 변경해 보세요.

  • 2.비밀번호 오류:

  •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비밀번호를 다시 확인하고 정확히 입력했는지 확인해 보세요.

  • 3.SSID 숨김 설정:

  • SSID를 숨김으로 설정한 경우, 일부 단말기는 숨겨진 네트워크에 자동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SSID를 숨기지 않도록 설정하거나, 단말기에서 수동으로 SSID를 입력해 보세요.

  • 4.주파수 대역 문제:

  • 일부 단말기는 5GHz 대역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무선 AP가 2.4GHz와 5GHz를 모두 지원하는지 확인하고, 단말기가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에 맞게 설정해 보세요.

  • 5.펌웨어 업데이트:

  • 무선 AP와 단말기의 펌웨어가 최신 버전인지 확인하세요.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호환성 문제가 해결될 수 있습니다.

  • 6.IP 주소 충돌:

  • DHCP 설정을 확인하여 IP 주소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세요. 필요시 무선 AP를 재부팅하여 DHCP 서버를 초기화해 보세요.

  • 7.MAC 주소 필터링:

  • 무선 AP에서 MAC 주소 필터링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필터링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접속이 안 되는 단말기의 MAC 주소를 허용 목록에 추가해야 합니다.

  • 8.무선 신호 간섭:

  • 주변에 다른 무선 네트워크가 많다면, 채널 간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무선 AP의 채널을 변경해 보세요.

이러한 방법들을 시도해 보시고, 여전히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무선 AP 제조사의 고객 지원 서비스에 문의하여 추가적인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24일 전

혹시나 두개의 공유기가 별도로 운영되고 있는듯 한데, SSID 동일하게 하시진 않았겠죠?

특히 무선 공유기인 경우에는 귀사 같은 경우가 가끔 발생을 하더라구요,

원인을 찾지 못해서 나중에는 결국 공유기를 교체하는곳도 보게 되었습니다.

혹시 모르니,

공유기 펌웨어 최신으로 업데이트,

위에서 말씀하신 인증 방식 변경,

공유기 초기화,

등을 해 보시는게 좋을것 같아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24일 전

제가 봤을때 보안 설정상의 문제로 보여집니다.

공유기 무선 설정에서 인증 및 암호화를 WPA2PSK + AES 로 하셨는지

만약 그걸로 했는데도 잘안되시면 다른 인증 및 암호화로 변경하면서 테스트 해보면 될것 같습니다.

누군 되고 누군 안되는거 보니 핸드폰이나 노트북마다 그 인증 및 암호화때문에 잘 안되는 경우도 있어서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1st 5stars

0 추천 | 25일 전

언급한 내용만으로는 문제 원인을 정확히 판단하기는 어렵겠고요.

다양한 Test를 해 보아야 좀 더 정확한 원인에 접근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 보이네요.


언급한 내용으로만 판단해 볼 수 있는 내용이라면...

SSID와 비밀번호를 설정했을때는 특정 누구에게는 잘 되는데, 특정 누구에게는 문제가 발생한다면...

SSID와 비밀 번호의 충돌 문제가 있는게 아닐까하는 추측이 우선 드네요.

예를 들어 iptime과 같은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SSID를 사용하면서 임의의 비밀번호를 사용했을 경우에...

특정인이 사용하는 기기에서 집이나 다른 곳에 사용하는 와이파이 기기에서 iptime SSID를 사용하고 있으면서 회사에서 설정한 iptime SSID의 비밀번호가 다르다면...

비밀번호가 맞지 않아 와이파이 접속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다른 곳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고유한 이름으로 SSID를 지정해서 사용해 보는것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어 보이네요.


비밀번호 설정 여부와 무관한 내용이지만... 앞에서 언급한 고정 IP 관련해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생각해 본다면...

와이파이에서 뿌려주는 유동 IP의 네트워크 대역이 있는데, 사용하는 기기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역이 다른 네트워크 IP가 고정되어 있거나 IP 충돌이 발생하는 가능성도 고려해 볼수 있을 것 같고요.

IP 충돌문제는 다른 곳에 이미 할당된 IP와 고정 사용하는 IP가 동일해서 충돌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고, 유선에 할당된 고정 IP 대역과 무선에 할당된 유선 IP 대역이 동일한 네트워크 대역이기 때문에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황이지만 연결되어 있지 않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을 시도함으로 인해 통신이 되지 않는 문제의 가능성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걸로 보여 지네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게시글 작성자 | 0 추천 | 25일 전

공유기 설정: 인터넷 선은 LAN 포트에 장착 되어있고, 허브 모드로 사용중입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답변 달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IT 솔루션 또는 하드웨어 도입을 검토 중 이신가요?

쉐어드IT 솔루션 상담실에서 믿을 수 있는 제품과 업체를 추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솔루션 상담실 IT 컨시어지 서비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질문들...

  • 3일 전
  • 댓글 : 3일 전
  • 약 한 달 전
  • 댓글 : 약 한 달 전
  • 약 2달 전
  • 댓글 : 약 2달 전
  • 약 2달 전
  • 댓글 : 28일 전
  • 약 2달 전
  • 댓글 : 약 2달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