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연결 pc와 인터넷 연결없는 노트북을 서로 연결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인터넷 연결 되어 있는 데스크탑과 연결이 안되는 노트북을 서로 연결해서 사용 할 수가 있을 까요? 또는 인터넷 연결되 두대의 데스크탑을 서로 연결해서 사용할 수가 있을까요?

태그가 없습니다.

11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0 추천 | 17일 전

크로스 케이블로 서로 연결시키면 됩니다.

일반적인 UTP 케이블은 다이렉트 케이블인데 PC와 허브를 연결할 수 있어요.

하지만 크로스 케이블은 PC와 PC끼리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

그럼 서로 네트워크 공유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요. 이에 대한 설명은 사람들이 잘 설명해준 것 같네요.

아마 랜 포트가 부족하실테니 USB TO LAN 젠더를 사용하셔야할거에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18일 전

다양한 의견이 있어 현 상황에 맞는 답변을 선택하여 검토해보세요. 참고하겠습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27일 전

1번, 2번 모두 공유기에 연결 하시면 서로 연결이 가능합니다. 

다만 공유기에 연결이 안된다면 아래와 같이 연결 하시면 됩니다. 

1번은 노트북과 PC를 UTP 케이블로 연결하여 사용하여 사설IP를 설정하여 연결 하시면 됩니다.

각각 서로만 연결되면 되기에 게이트웨이 설정은 필요 없습니다. 케이블 또한 예전에는 크로스케이블이 필요 했지만 요즘에는 네트워크 카드 기능이 좋아져서 다이렉트 케이블로 연결하셔도 가능 합니다.

2번은 원격접속 프로그램(팀뷰어 또는 크롬 원격데스크톱)을 설치 하셔서 연결 하셔도 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28일 전

가능합니다. 

케이블을 이용해서 두대의 컴퓨터를 연결해서 사용하게 해주는 제품들이 다양하게 있습니다.

랜선으로 연결할 수 도 있고요.

전용 케이블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제가 과거에 사용하던 전용 케이블은 지금 판매 중지라서 구입은 불가하고요.

랜케이블을 이용한 방법을 추천해봅니다.

아래 블로그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https://m.blog.naver.com/kangyh5/222460315256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28일 전

일단 글을 읽어보면 둘간의 데이터 이동이 필요한거 같습니다.

둘PC간에 데이터 이동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선 블루투스도 있고 파일 솔루션을 이용하는 방법이있습니다.

두 PC간 연결은 아래 URL링크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m.blog.naver.com/kangyh5/222460315256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1st 5stars

0 추천 | 28일 전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어도 게이트웨이 설정 여부, DNS 설정 여부에 따라 인터넷이 되고 안되고 설정 가능하죠.

다시 말해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어도 네트워크 설정에 따라 인터넷을 사용할수도 있고, 안될수도 있다는 것이죠.

질문 내용에 인터넷 연결 PC와 인터넷 연결없는 노트북을 서로 연결할 수 있냐는 질문은 두 컴퓨터가 서로 네트워크가 연결된다면 인터넷 연결 여부와 관계 없이 두대가 서로 통신할 수 있다는 답변을 드릴 수 있는 것이고요.


두대 컴퓨터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은 두대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면 서로 통신 가능하다는 답을 드리면 되겠고...

두대 컴퓨터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한다는 것은 네트워크로 연결하면 된다는 답이면 되겠고요.


블루투스 연결, USB 케이블이나 Null 케이블 등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표준적인 네트워크 연결이 아니기 때문에 이들 방법으로 서로 통신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별도의 통신 프로그램을 직접 개발하거나 만들어져 있는 프로그램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은 방법이 되겠고요.

별도의 추가 통신 프로그램 없이 표준적인 방법으로 두대의 컴퓨터를 서로 연결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 TCP/IP 이더넷 통신 )로 연결하는 방법이 가장 간단하고 쉬운 방법이 되겠네요.


네트워크로 두대의 컴퓨터를 직접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UTP 크로스 케이블을 이용해서 두대 컴퓨터의 네트워크 포트에 케이블을 직접 연결해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고...

크로스 케이블을 직접 만들기 어렵거나 별도 구매하기 번거로워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다이렉트 UTP 케이블을 이용해서 두대의 컴퓨터를 연결하고 싶다면 일반 두대 컴퓨터를 미니 스위치 허브에 함께 연결해서 둘만의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고요.

컴퓨터에 LAN 포트를 추가 장착하는 방법은 아래 이미지 같은 USB형 LAN 카드를 사용하면 되겠고요.


쿠팡에서 6,900원에 구매할 수 있는 USB LAN 카드를 2개 구매해서 양쪽 컴퓨터 USB에 장착하고, UTP 크로스 케이블을 직접 만들거나 쿠팡에서 UTP 크로스 케이블을 하나 구매해서 양쪽 컴퓨터를 직접 연결해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면 되겠고요.


쿠팡에서 Cat6 UTP 크로스 케이블을 7,030원에 구매 하능하네요.

직접 만드는 것도 어렵지 않지만... 직접 만들기 어렵다면... 구매해서 사용해야 하죠.

양쪽 컴퓨터를 유선 케이블을 이용해서 물리적으로 연결한 후에, 양쪽 컴퓨터 랜 포트에 IP 주소만 설정해 준다면 양쪽 컴퓨터가 통신 가능한 상태로 만들수 있겠는데...

IP를 설정할때 주의해야할 점은... 한쪽 컴퓨터가 이미 인터넷을 사용하는 IP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인터넷 네트워크와 둘만의 네트워크가 충돌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서 인터넷 사용하는 컴퓨터와 다른 네트워크 대역의 IP를 넣어서 둘만의 네트워크를 구성해 줘야 한다는 점이 되겠고요.

예를 들어 한쪽 컴퓨터에 인터넷 사용하고 있는 네트워크 IP가 192.168.0.1/24 라면...

USB LAN 카드를 추가해서 구성한 둘만의 네트워크에 할당하는 IP를 한쪽은 192.168.100.1/24, 다른쪽 IP는 192.168.100.2/24와 같이 할당해서 둘만의 네트워크를 구성해서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다른 방법은 아래와 같은 네트워크 스위치 허브를 사용해서 양쪽의 USB LAN 포트와 UTP Direct Cable을 연결해서 사용하면 되겠고요.


스위치 허브를 사용할 경우에는 양쪽 컴퓨터 각각을 UTP 케이블을 사용해서 스위치에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UTP Direct cable을 2개 구매해서 사용해야 하겠고요.


Cat 6 UTP Direct cable을 쿠팡에서 6,400원에 구매 가능하네요. 요걸 2개 구매해서 양쪽 컴퓨터를 스위치 허브에 각각 연결해서 물리적으로 양쪽 컴퓨터를 연결해서 사용하면 되겠고요.

IP 설정은 앞의 크로스케이블을 사용해서 양쪽을 직접 연결한 것과 동일하게 사용하면 되겠고요.


그리고, 또 다른 방법은...

이미 인터넷에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는 스위치에 인터넷 연결안된 노트북에 USB LAN 카드를 장착해서 통신 가능하게 구성하면 되겠고요.

동일한 네트워크로 구성하더라도 노트북 컴퓨터에 인터넷 불가하게 하고 싶다면 노트북 컴퓨터에 게이트웨이 설정을 하지 않는 등의 방법으로 노트북만 인터넷 안되게 만들수도 있고요.


기존 인터넷 사용하는 네트워크 스위치에 노트북을 연결하더라도 둘만의 별도 논리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해서 인터넷과 별개로 두대 컴퓨터만을 다시 연결하고 싶다면...

인터넷 되는 컴퓨터의 인터넷 연결해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카드에 IP 주소를 추가 등록해서 ( Cross 케이블을 사용해서 두대를 직접 연결할때와 동일한 방식의 IP 주소 추가 ) PC에서는 인터넷도 사용하면서 노트북과 둘만의 네트워크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수 있고요.

무선 LAN을 사용하는 방법도 여러가지가 있겠는데...

무선 Wifi 공유기를 스위치 모드로 PC가 연결된 유선 네트워크 망에 추가해서 노트북을 wifi를 통해 무선으로 PC와 통신하게 만들수도 있고요.

이때도 IP 주소를 어떻게 할당할 것인지, PC 쪽에 LAN 카드를 어떻게 할지, 유선 연결을 어떻게 할 지 등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가능할 수 있겠네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28일 전

PC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카드를 추가하고 노트북 네트워크 포트에 크로스 케이블 연결하면 됩니다.

PC ip :  192.168.1.10 , 노트북 ip는 192.168.1.20

서브넷 : 255.255.255.0                255.255.255.0

G/W  : 192.168.1.1                     192.168.1.1

설정 후 양쪽으로 ping 체크 후 확인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29일 전

방법은 많습니다.

pc(인터넷O)와 노트북(인터넷X) 연결하는 방법은 많습니다.

1. pc와 노트북에 랜포트 여유가 있으나 랜케이블을 커로스로 연결하거나 

   랜포트가 여유가 없으면 랜카드를 하나씩 추가해서 연결하면 됩니다.

2. pc와 노트북이 같은 스위치,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다면 별도의 추가 없이도 가능합니다. 

3.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방법인데 노트북은 기본적으로 블루투스 기능이 있구요. 

  데스크탑에 블루투스 동글 하나 꽂아서 블루투스 연결하여 사용

4. USB - USB 연결하는 방법도 있는데, USB 연결하고 데이터 전송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하면 데이터 전송은 가능합니다.

1,2번이 연결해놓으면 가장 쉽게 사용하실 수 있을 겁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1st 5stars

0 추천 | 29일 전

가능합니다.

다양한 방법 있습니다.

간단한 방법은 인터넷 사용하는 컴퓨터에 추가 랜카드 장착해서 인터넷 연결 안한 컴퓨터의 랜카드에 랜 케이블을 크로스 타입으로 직접 연결해서 둘만의 네트워크를 구성해도 되고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30일 전

블루투스 연결이나  허브을 연결 하여 인터넷이 지원이 안되어도 가능 합니다.

사무실 내 보안 상의 이유로 제한이 있다면 굳이 불법 적으로 노력 하실 필요는 없을것 같습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30일 전

어떤 목적으로 연결을 하실려고 하는지 모르겠지만,

네트워크 포트 여유가 있다면 얼마든지 연결이 가능할거구요...

요즘 노트북은 거의 블루투스가 지원이 되는 만큼, 데스크탑만 블루투스 기능이 지원된다면

블루투스를 이용해서도 연결이 가능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답변 달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IT 솔루션 또는 하드웨어 도입을 검토 중 이신가요?

쉐어드IT 솔루션 상담실에서 믿을 수 있는 제품과 업체를 추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솔루션 상담실 IT 컨시어지 서비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질문들...

  • 25일 전
  • 댓글 : 21일 전
  • 27일 전
  • 댓글 : 20일 전
  • 27일 전
  • 댓글 : 20일 전
  • 29일 전
  • 댓글 : 7일 전
  • 약 한 달 전
  • 댓글 : 약 한 달 전
  • 약 2달 전
  • 댓글 : 약 한 달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