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중요시스템은 VMware를 그대로 운영할 예정입니다.

VMware 라이선스 비용 이슈로 신규 개발 및 테스트 PC 환경을

Hyper-v로 구성해서 운영해보려고 하는데요.

혹시 hyper-v를 운영하고 계신분은 안정성,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해 조언 부탁드립니다.

구글링 자료가 아닌 실제 경험 내용을 공유해주시면 더 도움될것 같습니다. 

태그가 없습니다.

23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0 추천 | 3일 전

운영 경험상, 불편하긴 해도 변동없이 운영서버 올린다면 안정적입니다. 윈도우즈 리눅스 다 경험했습니다.

백업솔루션 연동도 문제없이 잘 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4일 전

Hyper-V는 비용 대비 충분히 안정적이며, 테스트/개발 환경에서는 좋은 대안입니다.

단, VMware 대비 부족한 기능, 성능 한계, 관리 편의성의 차이는 감안하셔야 합니다.


혼합 운영(VMware + Hyper-V) 시 운영 정책 구분, 백업, 모니터링 연동을 잘 설계하셔야 안정적으로 운영 가능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6일 전

서버 보다는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6일 전

저희 회사가 좀 특이하게 윈도우 2008 R2 때부터 Hyper-V 가상화를 쓰고 있습니다.

저희는 대부분의 시스템이 윈도우 OS이고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시작을 Hyper-V로 하고

인원이 적은데 서버가 많다보니 그냥 가상화가 좋아서 윈도우 2003 R2 이상되는 레거시들도 전부 가상화해서 지금까지 잘 쓰고 있습니다.

Hyper-V에서 VMware의 Vcenter 같은 SCVMM 같은게 있는데 그것 없이 수백대를 가상화로 운영중이고

반응속도에 민감한 MES 관련 APP 서버들, 왠만한 DB들도 Hyper-V로 운영중입니다.

개발이 아니라 운영서버들을 그렇게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나고 나서 Vmware 보다 Hyper-V가 성능이 더 잘나온다는 얘기를이 들리기도 하고

Vmware 대란을 보면서 운이 좋았다 싶은데.. 뭐 회사만 좋은일이지 개인적으로 좋은건 없네요.

메인 DB나 SAP 빼고, 크리티컬한 서버들도 전부 운영 시스템들 사용중인데 멀쩡하게 잘 돌아갑니다.

백업도 쉽고, 직관적이고, 사용하는데 익숙해져서 VMware로 가는게 오히려 지금은 어색하네요.

물리서버 1대에 윈도우 서버 OS 라이선스가 하나 있다면..

OS당 기본 Hyper-V 2개까지는 무료이니 물리서버에 그대로 셋업하지 마시고 가상화로 2개 올려쓰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Reply

게시글 작성자 | 하루 전

와우 큰 규모로 운영하시네요.

큰 규모에서 문제가 없었셨다니 안심이 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6일 전

hyper-v도 안정성 면에서는 크게 문제 되지는 않습니다. 

다만 hyper-v는 VMware의 VCenter 같은 중앙관리 기능이 조금 떨어집니다.


Reply

| 6일 전

Vmware vCenter가 정말 잘 되어 있죠.

저도 이부분이 제일 좀 불편하더라구요.


Reply

게시글 작성자 | 하루 전

vmware가 금액이 사악해서 그렇지

기능은 원탑인것 같아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7일 전

두 솔루션 모두 사용해봤습니다. 

체감적으로 안정성의 차이는 느끼지 못했습니다. 

Reply

게시글 작성자 | 하루 전

귀중한 체험정보 감사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게시글 작성자 | 0 추천 | 7일 전

답변해주신 내용 종합해보면 

대부분 안정적이시라는 답변이라 좀 안심이 되네요.

빠른 답변 감사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7일 전

많이는 아니지만 두가지를 사용해 본 경험으로는 

아무래도 Vmware 는 엔진 자체가 무거워서 기본 스펙이 좀 높게 필요한게 사실입니다.

같은 스펙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Hyper-V 가 성능면에서는 좋은거 같네요.

Reply

게시글 작성자 | 7일 전

오히려 성능이 더 좋다고 하니

사용 안할 이유가 없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7일 전

hyper-v 오래 써보진 않았지만,

성능이나 안정성에 크게 문제는 없었습니다.

만약에 다시 사용해야 한다면, 사용하겠다고 할 듯 합니다.

Reply

게시글 작성자 | 7일 전

안정성에 문제없다는 의견이 대부분이네요. ^^

답변 감사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7일 전

vmware 외 비교 자료 입니다.

hyper -v는 윈도우 기반 생태계와 통합된 환경에 적합하고 그외 Linux도 사용하신다면 다른

가상화도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항목

Hyper-V

KVM

Xen

아키텍처

Type 1 하이퍼바이저 (Windows Server 또는 독립형 Hyper-V Server에서 실행)

Type 1 하이퍼바이저 (리눅스 커널 모듈로 작동, QEMU 통합)

Type 1 (Bare-metal) 또는 Type 2 (호스트 OS 하이퍼바이저 가능

운영 체제 지원

Windows, Linux (제한적), FreeBSD 

Linux, Windows, FreeBSD, Solaris  다양한 OS 지원

Linux, Windows, NetBSD, FreeBSD  다양한 OS 지원

호스트 OS 요구

Windows Server, Windows 10/11 Pro 이상 또는 Hyper-V Server

리눅스 배포판 (: Ubuntu, CentOS, Red Hat)

XenServer 또는 리눅스/유닉스 기반 호스트 OS

라이선스

상용 (Windows Server 라이선스 포함, Hyper-V Server 무료)

오픈소스 (GPLv2, 무료)

오픈소스 (GPLv2, XenServer 상용 버전도 있음)

성능

Windows 중심 환경에서 최적화높은 안정성메모리 관리와 CPU 활용 효율적

리눅스 커널과 통합되어 높은 성능. QEMU 통한 유연한 하드웨어 에뮬레이션

높은 성능특히 PV(Paravirtualization) 모드에서 효율적클라우드에 최적화

관리 도구

System Center Virtual Machine Manager (SCVMM), PowerShell, Windows Admin Center

virt-manager, OpenStack, Proxmox, oVirt  다양한 오픈소스 도구

XenCenter (상용), XAPI, OpenStack, CloudStack 

스토리지 지원

VHD/VHDX, SMB, iSCSI, Fibre Channel

QCOW2, RAW, LVM, iSCSI, NFS, Ceph  다양한 스토리지

LVM, iSCSI, NFS, ZFS, VHD 

네트워크 기능

Virtual Switch, VLAN, NAT, SR-IOV 지원

Open vSwitch, Linux Bridge, SR-IOV, VLAN 지원

Open vSwitch, Linux Bridge, VLAN, SR-IOV 지원

보안 기능

Shielded VMs, Secure Boot, TPM, BitLocker 통합

SELinux/AppArmor 통합, QEMU 기반 격리, sVirt 지원

Xen Security Modules (XSM), PV 기반 격리, Dom0 보안 강화

클라우드 통합

Azure 강력한 통합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 적합

OpenStack, Kubernetes, Proxmox  클라우드 플랫폼과 통합 가능

AWS EC2, OpenStack, CloudStack  클라우드 환경에서 널리 사용

커뮤니티/지원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지원대규모 커뮤니티

오픈소스 커뮤니티 (Red Hat, Canonical ), 활발한 개발

Xen Project 커뮤니티, Citrix XenServer 상용 지원

확장성

대규모 데이터센터에 적합, Azure Stack HCI 통합 가능

대규모 클러스터링 가능 (OpenStack, Proxmox ), 높은 유연성

대규모 클라우드 환경 (AWS, Rackspace)에서 입증된 확장성

설치  관리 난이도

Windows 환경에서 직관적, GUI 기반 관리 용이

리눅스 지식 필요설정 복잡도 높음

XenServer GUI 관리 용이오픈소스 Xen 리눅스 지식 필요

비용

Windows Server 라이선스 비용 발생, Hyper-V Server 무료

무료 (오픈소스), 관리 도구에 따라 추가 비용 가능 (: Red Hat 구독)

오픈소스 Xen 무료, XenServer 상용 라이선스 비용


Reply

게시글 작성자 | 7일 전

다른 가상화 솔루션과 비교해주신 자료 감사합니다.

많이 참고가 될것 같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1st 5stars

0 추천 | 7일 전

겉 포장지를 얼마나 잘 포장했는지에 차이가 있는게 아닐까 싶네요.

확장 기능, 인터페이스 편의성 추가 등등으로 어떻게 포장을 잘했냐의 차이가 있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입니다.


비용관점에서 가상 컴퓨터를 고려할거라면...

Window에 제한되고 라이선스에 제한될 수 있는 hyper-v 보다는 virtualbox가 더 낫지 않을 싶기도 하네요.

Reply

게시글 작성자 | 7일 전

virtualbox도 한번 검토해보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7일 전 | 제이컴즈 | 010-2871-8756

Hyper-V 로 가상화 서버 8대 운영하고 있는데요 2년 동안 써봤는데 별다른 특이점은 없었습니다.

딱히 심각한 문제점을 발견하기 어려웠네요 저희가 가상화 서버를 운영하는 목적은 그냥 단순하게

불필요한 물리적인 서버 숫자를 줄이기 위해서 가상 서버를 운영하고 있고 갑자기 가상 서버 서비스가

중단 되거나 한 적은 없었습니다. 

Reply

게시글 작성자 | 7일 전

답변 감사합니다. 

개발/테스트 환경 운영해봐야겠네요.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0 추천 | 8일 전

저희도 Vmware 사용하다

다른 가상화 솔루션 확장 검토하며 개발환경에 적용해서 8개월정도 사용 중에 있는데요.

아직 운영하면서 다행히(?) 크리티컬한 문제가 발생한 적은 없습니다.

운영하면서 느낀 점에 대해 공유드리면 Hyper-v에서의 windows server의 IO 속도나

속도는 좀 더 빠른 느낌은 있어요.

실제 구글링 차이 보니 같은 windows 환경이라 좀 더 좋다는 평이더라구요.

예를 들어 10개의 VM을 구성한다면 vmware는 vCenter 등의 기능은 아주 좋지만 자원사용이

많아 hyper-v보다는 더 높은 사양이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

hyper-v환경에서 windows server의 리부팅 속도도 약간 빠르구요.

아직 크리티컬한 큰규모의 환경에 구성은 부담되지만 중요도가 떨어지는 업무환경에는

저비용에 괜찮은거 같습니다.



Reply

게시글 작성자 | 7일 전

답변 감사합니다. 저희와 비슷한 상황이네요.

최근에는 많이 좋아졌는다는 말은 듣긴 했는데, 실제 운영중이시라니 안심이 됩네요. ^^ 

Reply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답변 달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IT 솔루션 또는 하드웨어 도입을 검토 중 이신가요?

쉐어드IT 솔루션 상담실에서 믿을 수 있는 제품과 업체를 추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솔루션 상담실 IT 컨시어지 서비스

가상화 카테고리의 다른 질문들...

  • 3일 전
  • 댓글 : 약 한 시간 전
  • 7일 전
  • 댓글 : 3일 전
  • 21일 전
  • 댓글 : 3일 전
  • 26일 전
  • 댓글 : 20일 전
  • 6달 전
  • 댓글 : 6달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