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네트워크를 모르는 사람입니다.
외부에서 접속하면 안되는 회사 내부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되었는데요.
회사 건물 안에 웹서버가 있고요.
이 서버를 역시 회사 안에 있는 PC 몇 대가 브라우저로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합니다.
PC로 다른 인터넷에 접속할 수는 없습니다.
그저 서버에만 접속할 수 있습니다.
이러면 어떤 하드웨어가 필요하고 어떤 설정을 해야하나요?
그저 웹서버 설치하고 ip알아내서 접속만 해본 경험이 있는데
저런 네트워크를 만들어야 한다고 하니 전혀 지식이 없어 막막하네요.
외부에서 접속하면 안되는 회사 내부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되었는데요.
회사 건물 안에 웹서버가 있고요.
이 서버를 역시 회사 안에 있는 PC 몇 대가 브라우저로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합니다.
PC로 다른 인터넷에 접속할 수는 없습니다.
그저 서버에만 접속할 수 있습니다.
이러면 어떤 하드웨어가 필요하고 어떤 설정을 해야하나요?
그저 웹서버 설치하고 ip알아내서 접속만 해본 경험이 있는데
저런 네트워크를 만들어야 한다고 하니 전혀 지식이 없어 막막하네요.
17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기본적인 개념이 도움 될거 같아 추가해 드려요.
웹서버나 일반 서버나 일반 PC나 ip 설정하는 건 동일하다고 보면 되겠고요.
TCP/IP 프로토콜에서 컴퓨터를 찾아 갈때 사용하는 것이 IP 이지요.
해당 IP를 가진 컴퓨터를 찾아 접속했다면 그다음 찾는 것이 TCP 포트이지요.
서비스( 서버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 )마다 자기만의 포트 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웹서버는 80 포트를 사용하고요. telnet 서버는 23 번, FTP 서버는 21번, SMTP 메일 서버는 25번,...
웹서버를 설치해서 구동하고 있다는 것은 TCP 80 포트를 열어두고 클라이언트 접속을 기다리고 있다는 의미가 되죠.
정상적으로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고 방화벽에 의해 차단되어 있지 않다면 웹 클라이언트가 웹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 진다고 보시면 되겠네요.
IE나 크롭, 엣지, 파어어팍스 등등의 웹 클라이언트는 HTTP 프로토콜에 의해 해당 주소의 컴퓨터 IP를 찾은 후에 기본적으로 80 포트를 통해 서비스를 요청하게 되면서 웹 서버와 통신을 하게 됩니다.
TCP/IP 프로토콜에서 IP 계층 하단에서 전기적, 물리적 연결이 되게 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스위칭) 허브와 네트워크 카드, UTP 케이블 등이 하고 있는 것이고요.
더 자세한 설명을 적고 싶은 마음은 있지만... 오히려 설명이 복잡해 질것 같아 이 정도에서 줄입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서버업체와 네트워크 업체를 불러 그림을 그려서 설명해 달라고 하시면 됩니다. (이해 될 때까지)
돈 안들어가니 괜찮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내부 네트워크에 있는 서버에 접속하는 상황이라면 ip로 서버에 접속하는게 맞을것 같고요.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하더라도 www.abc.com 같은 식으로 접속하고 싶다면 내부에 DNS 서버를 구축해서 사용하거나 각 클라이언트에 있는 hosts file을 이용해서 ip가 아닌 컴퓨터 이름으로 접속하게 할 수도 있지만, 얻는 장점보다 구성하기 위한 어려움이 더 크기 때문에 DNS까지 고려할 필요는 없을 거라 생각되네요.
우선 서버 OS를 뭘로 할지를 결정하고요.
윈도 서버도 되고, 윈도 PC도 상관없습니다. 윈도 보다는 리눅스가 좀 더 괜찮은 것 같더군요.
서버 OS가 결정되었다면 다음으로 웹서를 결정해야 겠지요.
윈도 서버라면 iis가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는데 iis를 이용해도 되고요. apache나 nginx 등의 웹서버는 윈도나 리눅스 모두 사용가능하고요.
웹서버 설치한 후에 ASP나 PHP 등의 CGI용 서비스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서 웹서버를 구동해 줘야 제대로된 웹서비스를 구동할 수 있게 되죠.
ASP는 윈도 서버에 IIS에서만 작동되기 때문에 요즘은 대부분 PHP를 사용하는 걸로 생각되고요.
다음으로 DB를 설치해야 겠지요. MS-SQL, Oracle, MySQL 등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MS-SQL은 윈도에서만... 가능하고,
MS-SQL이나 Oracle은 아무래도 비용도 만만찮기 때문에 웹서버용으로 MySQL을 많이 사용하고 있고요.
리눅스에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Maria DB라는 것도 있는데 MySQL과 동일한 DB라고 생각하면 되고요.
아파치, PHP, MySQL 3가지를 함께 묶어서 설치해서 웹서버를 구동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셋을 묶어서 설치해주는 패키지도 몇가지 있는데 그중 한가지가 APM인데 APM setup으로 인터넷 검색해보면 다운 받는 방법 설치하는 방법 등에 대한 많은 내용들이 나옵니다.
비트나미 패키지도 많이 사용하는 걸로 보이고요. 비트나미(Bitnami )도 인터넷 검색해 보시면 많은 자료를 찾아 보실수 있고요.
다음으로 워드 프레스나 건우보드(GNUBoard) 등의 CMS를 설치해서 운영하면 전문 지식 없이도 어렵지 않게 사내 전자 게시판, 웹서버, 블로그 등을 운용할 수 있게 됩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인터넷에 올려두고 사용하는 웹서버가 아니라, 인터넷(외부)에서는 접속할 필요가 없고, 내부 네트워크 컴퓨터들만 접속해서 사용하는 웹서버인거 같은데...
사내 전자 게시판, 인터라넷 컨텐츠(자료) 공유 등의 용도로 사용하시려는게 맞으신가요..?
외부에서 접속할 필요가 없는 내부 웹서버라면 내부의 다른 컴퓨터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IP 설정을 하시고,
웹서버( IIS, Apache, Nginx 등 )를 구동하시면 기본적인 정적 HTTP 문서를 공유해서 볼 수 있는 상태가 되고요.
동적 웹서버를 구축하려면 PHP, ASP 등등의 서비스를 올리고 DB를 연동 시켜서 구동하면 되고요.
워드프레스나 그누보드, 익스프레스 등등의 오픈 소스 CMS( Content Management System )를 이용한다면 어렵지 않게 사내 전자 게시판을 활용할 수 있겠고요.
외부에서 들어올일 없고,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야 할 필요가 없다면 라우터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라우터는 인터넷 연결을 위한 장비입니다.
만약 질문 내용이 내부에 있는 웹서버를 외부(인터넷)에서 접속해서 사용해야 하고, 내부 컴퓨터들은 인터넷이 안되지만 웹서버는 접속 가능해야 한다는 질문이라면...
웹서버를 방화벽의 DMZ 영역에 올려서 구성하거나, 웹서버에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IP와 내부용 IP를 모두 할당해서 내부 컴퓨터들은 내부용 IP로 접속하고 인터넷에서는 인터넷용 IP로 웹서버에 접속하도록 구성하면 되고요.
내부 컴퓨터들에 게이트웨이 설정을 하지 않으면 내부 컴퓨터들은 인터넷이 되지 않습니다.
게이트웨이라는게 일반적으로 라우터 역할을 하는 장비를 지칭하는 것이고...
방화벽에서 in bound, out bound 설정으로 외부/내부 차단 설정으로 원하는 구성을 해도 될것 같고요.
내부 시스템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있을 것 같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해당 라우터 장비에서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라우팅이라는 설정이 되어 있으실 거에요.
그 라우팅 설정을 빼버리고 내부끼리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라우팅 설정을 다시 해주시면 될겁니다.
보통 엔지니어가 따로 있으실텐데.. 없으시다면 작업이 힘드실 수도 있어용.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dns 를 쓴다면 dns 만 열던가 혹은 내부 dns 를 줘야겠지요.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