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시장의 VDI (가상화 데스크탑) 시장 규모는?
조달청 나라 장터에 보면 VDI 구축에 대한 입찰 공고가 보이는데요..
공공 시장 규모가 얼마인지, 해당 업체는 어디가 있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을 까요?
전문가님들의 의견 구합니다.
감사합니다.
조달청 나라 장터에 보면 VDI 구축에 대한 입찰 공고가 보이는데요..
공공 시장 규모가 얼마인지, 해당 업체는 어디가 있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을 까요?
전문가님들의 의견 구합니다.
감사합니다.
4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위에 4개 업체가 경험이 많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공공 시장에서 VDI가 각광 받는 이유는 바로 망분리의 이슈입니다.
정부기관과 금융, 관련된 방산기업과 공기업, 의료기관 등 다양한 산업에 망분리를 해야하는 의무와 인센티브가 존재하는 정책이 큰 배경이라 볼 수 있습니다.
아시는 바와 같이 망분리는 물리적 망분리와 논리적 망분리가 있겠으며, 논리적 망분리가 바로 ‘가상데스크톱’을 기반으로 구현되는 것이며,
공공의 VDI 시장 규모라는 것은 망분리를 해야하거나, 했을경우 인센티브(혜택)가 주어지는 기관이 수요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저도 정확한 예산 현황 등을 찾아보려했지만 자료가 너무 많군요. 망분리 시장 수요예측이 산업별, 기관별 너무 많습니다.^^
그리고 해당업체?는 관련 솔루션 업체를 말씀하시는 건가요?
국산과 외산 VDI솔루션이 많이 있습니다만 대표적으로,
[국산]
- 퓨전데이타
- 틸론
- 한위드
- 엔컴퓨팅
[외산]
- VMware
- Citrix
- Microsoft
망분리는 우리나라에서 진행되는 비즈니스입니다. 해외 사례가 있을까요? 잘 모르겠습니다만...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그리고 공공기관 성격을 띄거나, 밀접한 비즈니스를 하는 기업(방위산업)이 수요처가 될 수 있으며, 국가조달 정책이 다소 국산제품을 보호하고 장려하는 정책으로 볼 때 당분간은 국산 솔루션이 실적을 이어 갈 것 같은 생각입니다. 제 생각...
결론은 시장과 수요는 넓고 큽니다.
다만, 우리나라만 시행되는 망분리 정책이 얼마나 오래갈까 하는 개인적인 의구심도 있고요, 정부 정책으로 인해 안할수도 없는 실정이기에 당분간은 IT비즈니스 중 예산 배정이 적지 않은 분야임은 분명합니다.
정답은 못 드리고 생각만 공유한 것 같아 죄송하네요^^; 참조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 남기기
답변을 작성 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회원가입